선수촌·미디어 관계자들 밀물
아시안게임 특수를 노리던 인천지역 상권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인천지역 상권은 아시안게임에 참가하는 각국 선수단과 취재진, 관람객의 방문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했으나 대형마트·백화점 주변지역과 전통시장을 찾는 외국인 방문객 수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구월동 로데오거리와 인근 대형마트·백화점은 문학경기장과 구월동 아시아드선수촌 인접 지역의 혜택을 보고 있다.
로데오거리 인근 번화가는 저녁마다 선수와 대회 관계자 등이 운동복을 입은 채 활보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신세계 백화점, 이마트 인천점의 경우 외국인 고객이 크게 늘어 지난 19~21일 외국인 대상 백화점 매출이 200% 증가했다.
특히 송도국제도시 주요 상점가는 MPC(미디어프레스센터) 등 조직위 관련 기구 등이 위치한 탓에 각국 취재진과 대회 관계자 등이 즐겨 찾는 ‘수혜지역’ 중 하나다.
반면 서구 중앙시장, 연수구 옥련시장, 남동구 모래내시장, 창대시장 등 전통시장은 방문객이 5~10% 늘어나는 수준에 그쳤다. 이들 전통시장은 경기장 인근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 상인 대상 중국어 교실을 열고 6개 언어로 된 관광안내지도를 제작해 주요 관광지에 배포했지만, 정작 전통시장을 찾는 외국인은 많지 않다.
대표적인 관광시장으로 꼽히는 신포시장이 평소보다 1.5배 가량 방문객이 늘며 선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당초 기대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치로 중국 춘절 방문객보다 약간 많은 수준이다.
관광객이 대거 드나들 것으로 기대한 부평지하상가와 부평 문화의 거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인천상인연합회 관계자는 “관광안내지도를 배포하고 상인 교육을 통해 아시안게임 특수를 기대했지만, 체감도는 낮은 수준”이라며 “경기가 끝나면 선수들이 찾아오지나 않을까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