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창업 생존율
최근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숙박, 음식업 등 생계형 창업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반면 창업 5년 후 생존율은 17%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부좌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자영업자들의 창업 5년 후 생존율이 숙박ㆍ음식점은 17.7%, 도소매업은 26.7%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숙박ㆍ음식점은 창업 1년 뒤 55.3%가 생존하고 3년이 지나면 28.9%, 5년이 지나면 17.6%의 생존율로 10곳 중 2곳도 살아남기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을 직접 만들지 않고 중개 판매하는 도ㆍ소매업 역시 창업 1년 뒤 56.7%, 3년 뒤 35.8%, 5년 뒤 26.7%만 생존해 10명 중 3명도 안되는 비율로 집계됐다.
전체 신생 기업의 5년 뒤 생존율은 29.6%로, 창업하고 5년이 지나면 10곳 중 7곳이 문을 닫는 형국이다.
이에 대해 부 의원은 “현재 우리나라 자영업자들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자영업자들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범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고 호소했다.
박준상기자
사진=생계형 창업 생존율, SBS 방송 캡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