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연구단지 직원 1천여명·한해 방문객 50만명 어쩌라고…
근무직원만 1천여명, 연간 방문객 50만명에 달하는 서구 경서동 국립 종합환경연구단지를 잇는 40번 시내버스 노선이 변경되면서 방문객 및 직원들이 접근성 저하를 호소하고 있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청룡교통이 운행하는 40번 시내버스의 기점을 지난 20일부터 국립생물자원관에서 검암역으로 변경, 더이상 종합환경연구단지를 운행하지 않는다.
시는 지난 8월 북인천나들목 입구 사거리 지하차도 개통으로 버스 진출입 교차로가 없어져 두 달여간 ‘U-턴’으로 운행하다 버스 안전을 이유로 노선을 변경하게 됐다.
하지만, 40번 노선이 종합환경연구단지를 향하지 않으면서 국립생물자원관 입구 정류장에 서는 버스는 111-2번 버스 1대 밖에 남지 않는다.
결국, 40번 노선 변경으로 직원 및 방문객은 20여분 걸어 국립생물자원관 입구 정류장에서 111-2번을 이용하거나, 306번 등 좌석버스 3개 노선이 다니는 국립생물자원관 정류장까지 30여분 가량을 걸어야 한다.
40번 노선은 그동안 111-2번과 달리 가까운 거주단지인 청라국제도시를 다니는 노선으로 직원 및 방문객들의 접근성을 위해 정식 노선이 아닌 종합환경연구단지 내부까지 임시 운행했다.
종합환경연구단지에는 희귀 동·식물을 전시 및 연구해 지난해 41만명이 찾은 국립생물자원관을 비롯, 한국환경공단, 국립환경과학원, 국립환경인력개발원, 교통환경연구소 등 환경부 산하 5개 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종합환경연구단지 내 셔틀버스는 검암역 방면으로 운행하는 1개 노선 밖에 없으며, 그나마 평일 30분, 주말 1시간 간격으로 운행 중이다.
이에 직원 출·퇴근은 물론 방문객 접근에 일익을 담당하던 버스 노선이 사라지면서 대체 노선 신설 및 종합환경연구단지 내부 정류소 설치 등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 종합환경연구단지 소속 기관 관계자는 “많은 직원 및 방문객이 그동안 40번을 탔는데 갑작스레 노선이 없어져 당황스럽다”며 “교통이 외진 지역이긴 하지만 적은 이용객도 아니고 대책을 세워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유턴 운행으로 기사 및 승객의 안전이 위험한 상황에서 검암역 노선 증설을 위해 최소한으로 바꾼 것”이라며 “차후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해 불편 해소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