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장기침체 부정적 낙수효과… 건설·조선·레저업체 상당수
올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중소기업이 120곳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대기업들의 어려움이 중소기업에도 이전되는 탓으로 분석된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당국과 채권은행들은 최근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심사를 마치고 이번 주에 구조조정 대상 업체를 최종적으로 확정할 계획이다.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은 120곳이 넘을 것으로 알려졌다. 120곳이 넘는 것은 지난 2010년(121곳) 이후 4년 만이다.
지난 7월 금감원이 발표한 구조조정 대상으로 분류된 대기업은 34곳 지난해(40개)에 비해 줄었다.
이 때문에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대기업보다 더 클 것으로 내다보는 시각도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대기업의 장기간 침체의 영향이 이제 수면으로 오르는 것”이라며 “경제현상에서 낙수 효과가 있듯이 부정적 측면에서 낙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채권은행은 50억~500억원을 빌린 중소기업 중 부실 가능성이 있는 1천500여곳에 대한 신용위험 세부평가를 거쳐 C등급과 D등급으로 분류한다. 올해에는 건설·조선업종과 오락·골프장 등 레저업체들이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 다수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C등급 업체는 워크아웃을 통해 경영정상화될 수 있도록 채권단의 지원을 받지만, D등급 업체는 채권단 지원을 받지 못해 통상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