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조선 백자 인양… '조선시대 배 첫 발견' 가능성 높아
충남 태안 마도 해역에서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선박이 발견됐다.
5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바닷속 경주'로 일컫는 마도 해역을 지난 6월1일 이래 발굴조사한 결과 '마도 4호선'으로 명명한 침몰 고선박을 발견했으며 주변에서 조선시대 백자 111점을 인양했다고 밝혔다.
발견 당시 종류별로 10점씩 포갠 상태였으며, 꾸러미 아래쪽에는 그릇이 깨지지 않도록 완충재로 사용했을 볏짚도 함께 확인돼 화물로 선적됐음을 엿보인다.
또한 백자 촛대는 발굴된 사례가 없이 전세품(傳世品)만 남아있어 도자기 가치가 특히 크다고 평가된다.
제작 상태, 기종 등을 고려할 때 이번에 발견된 백자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제작된 지방 생산 백자로 추정된다.
특히 선박 내부에서 조선 초기 분청사기 2점이 발견됨에 따라 추후 자세한 조사와 분석이 있어야겠지만 한국 수중고고학사상 최초의 조선시대 선박 실물 출현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다만 이들 백자 다발이 이번에 확인한 마도 4호선에 적재한 것인지는 아닌지는 "아직 확실치 않으며, 상관관계는 추후 면밀한 조사를 해 봐야 판단이 가능하다"고 문환석 수중발굴과장이 설명했다.
지금까지 마도 해역에서는 태안선, 마도 1·2·3호선으로 명명한 고려시대 고선박 4척을 발굴했다.
조선시대에도 마도 해역에서는 무수한 배가 침몰했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상하게도 조선시대 선박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문환석 수중발굴과장은 "좀 더 조사가 필요하지만 분청사기가 선박에 실린 유물이라면, 이 선박이 현재까지 한 번도 발굴된 적이 없는 조선시대 것일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까지 해양에서 발굴된 고선박 12척 중 최근 통일신라시대 유물로 드러난 옹진 영흥도선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고려시대에 속한다"고 전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태안 조선 백자 인양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