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채용 전면 개편… 직군별 역량 평가

SSAT 위주 획일적 방식 지양 직무적합평가 통해 인재 선별 
내년 하반기 ‘공채’ 시행 예정

삼성이 신입사원 채용 방식을 전면 개편하기로 하면서 고용 및 산업계에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은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기존 시험(SSAT) 위주의 획일적 채용방식을 직군별로 다양화는 방향으로 3급 신입사원 채용제도를 개편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우선, 삼성은 다양한 직군별 직무 역량을 평가하기 위해 ‘직무적합성평가’를 도입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 기술, 소프트웨어 직군의 경우 전공 능력 위주의 평가를 통해 전공을 충실히 이수한 지원자를 선발하며 영업, 경영지원직군 등은 직무적성 위주의 평가를 통해 평소 하고 싶은 직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성실히 준비한 지원자를 뽑는 등의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와 함께 기존에 치러지던 SSAT도 다양한 직군별 특성을 반영해 보완하기로 했다. 전공능력이 중요시되는 연구개발, 기술 직군은 전공을 충실히 이수한 지원자에게 가산점을 주는 방식으로 SSAT의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으며, 소프트웨어 직군은 SSAT 대신 ‘소프트웨어 역량테스트’를 도입해 프로그래밍 개발능력(코딩+알고리즘)이 우수한 지원자를 선발하게 된다.

또 창의적 인재 선발을 위한 ‘창의성 면접’도 도입된다. 삼성은 지원자와 면접위원의 토론 방식으로 진행되는 창의성 면접을 통해 지원자의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논리 과정을 평가할 계획이다.

삼성은 지원자들의 준비기간을 고려해 새로 개편되는 채용제도를 2015년 하반기 공채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이처럼 삼성의 채용방식이 전면 개편되면서 고용시장과 업계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상당수 취업준비생 사이에서는 직무적합성 평가의 도입으로 사라졌던 서류전형이 사실상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삼성은 “출신대학과 평균학점, 자격증, 어학성적 등 직무와 무관한 스펙은 반영하지 않을 계획인 만큼 단순한 서류 전형의 부활은 아니다” 라면서 “학력, 성별 등의 불합리한 차별 없이 누구나 지원 가능하고 실력으로 평가받는 열린 채용의 기조는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