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물 방치 8년… ‘우범지대화’ 속수무책

[현장&] 옛 인천해양경찰서 청사

유리창 깨지고 곳곳 균열… 마치 폭격 맞은 듯 ‘착각’

향후 정비계획도 오리무중… 탈선청소년 아지트 우려

6일 오후 1시께 인천시 중구 축항로 해상교통관제센터(VTS) 정문 옆.

마치 폭격을 맞은 듯 모든 유리창이 깨진 거대한 건물이 흉물처럼 남아있다. 굳게 닫힌 철문 옆에 출입금지 경고판이 걸려 있는 이곳은 옛 인천해양경찰서 청사다.

건물 외벽은 곳곳에 칠이 벗겨지고 여기저기 금이 가 금방이라도 무너져 주차된 수십 대의 차량을 덮칠 기세다.

철문 밖 빛바랜 ‘민원봉사실’ 간판이 걸린 건물은 통제가 없어 창문 안쪽으로 각종 쓰레기와 집기가 쌓여 있고, 건물 앞에는 주황색 경찰통제선(폴리스라인) 띠 뭉치가 스산하게 나뒹군다.

인천해경에 따르면 지난 1980년에 지어진 인천해경 청사(북성동 1가 103의 1)는 2006년 4월 폐쇄됐다.

이곳 인근에 있던 해양경찰청이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내 새 건물로 이전하고, 인천해경이 기존 해양경찰청사로 이전했기 때문이다.

지난 8년여 간 흉물로 방치된 옛 인천해경 청사의 정비계획도 오리무중이다. 지난 2009년 국방부와 해양경찰청, 국토해양부(현 해양수산부), 인천시 등이 인천해역방어사령부와 인천해경을 송도국제도시로 이전하고 기존 부지를 활용키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지만, 송도 주민의 반발 등에 막혀 논의가 수년간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30년이 지난 해경 청사는 붕괴 위험은 물론 누구나 손쉽게 드나들 수 있어 노숙자와 청소년 등의 각종 범죄 장소로 이용될 우려를 낳고 있다. 붕괴 위험 및 범죄 장소화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정비계획이 수립되지 않았더라도 철거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인천해경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가 약속한 대로 인천해경 이전 및 정비사업이 추진돼야만 자체적으로 구 청사 철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며 “다만, 안전사고에 대비해 수시로 순찰은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동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