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읽는 고사성어 인문학’ 출간
화복상전(禍福相轉), 촌음시경(寸陰是競), 오리무중(五里霧中), 오비이락(烏飛梨落)….
우리가 일상에서 익숙하게, 유용하게 사용하는 대표적인 고사성어들이다. 고사성어는 압축적이기 때문에 풀어주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렵다. 풀어주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필요한데 하나는 ‘한자의 이해’이고, 하나는 ‘맥락의 이해’이다.
특히, 동양고전은 한자문화권의 기록이기 때문에 고사성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자에 관한 기본 소양이 필요하다. 또 옛 일이라서 현시대의 감각으로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 맥락을 알아 변통을 해야 한다.
사자성어의 한자 뜻과 음을 표기하고, 자세한 의미를 현대사회의 다사다난한 문제에 대처하는 처세의 지혜 등을 제시하며 풀이한 책 ‘고전으로 읽는 고사성어 인문학’(비움과소통刊)이 출간됐다.
이 책은 불가의 법구경, 도가의 도덕경, 유가의 역경 등 유불선의 다양한 동양 고전의 한자 원문을 소개하고 뜻을 풀이해 한문공부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편집했다.
저자 철산(哲山) 최정준(사진)은 성균관대 동양철학과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한국철학을 전공,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산(大山) 김석진 선생에게 주역을 비롯한 경서를 사사, 28세 때 안면도에서 주역전문을 통강(通講)했다. 그후 20년간 주역과 동양고전을 연구하며 전국 대학과 사회교육기관, 국악방송 등에서 대학원생과 기업인, 사회인 등을 대상으로 강의하고 있다.
저자는 “고전은 결국 인간의 몸과 맘에 관한 이야기”라며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퇴계(退溪)선생이 읊었던 시조가락처럼 ‘옛사람도 날 못 보고 나도 옛사람을 못 보지만’ 마음으로 소통하는 일로, 그 일은 곧 그의 감성을 활성화시키고 지성을 숙련시키며 영성을 개발해주는 일이며 그렇게 될 때 드러나 보이는 세계도 화평을 향해 갈 수 있으니, 이것이 고전을 읽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값 1만3천800원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