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은 2년간의 시험연구를 거쳐 비점오염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노지 밭 고추 재배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재배기술은 두둑에 비닐을 덮어 고추를 키우는데 더해 고랑에도 부직포를 덮어 비점오염원인 총인(T-P)과 토사가 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을 막는 것이 핵심이다.
비점오염원은 일정한 배출구를 갖지 않는 오염원으로 농경지, 산지, 도로 등에서 빗물과 함께 쓸려 하천 등을 오염시킨다. 도농기원이 2년간 시험연구를 거친 결과 총인은 최대 40%, 토사는 97% 유출을 막을 수 있었다.
도농기원 관계자는 “인(P)은 비료의 3요소이지만 하천으로 유입되면 조류의 먹이가 돼 하천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작용한다”며 “광주·이천·용인 등 팔당수계 7개 시·군에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재배기술을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한편 팔당수계 7개 시·군의 노지 고추 재배면적은 지난해 기준 1천6ha로 도내 전체 3천158ha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며, 부직포를 덮는 비용은 10a당 9만9천원으로 7개 시·군 고추밭에 모두 9억9천600만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