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19일 불참 ‘당직근무일’ 유명무실
인천시와 기초자치단체가 설 연휴 기간에 ‘비상진료기관’ 및 ‘휴일 지킴이 약국’을 운영할 계획이지만, 정작 설날(19일)엔 참여하는 의원과 약국이 극소수여서 시민 불편이 우려되고 있다.
16일 인천시와 10개 군·구에 따르면 설 연휴인 오는 18일부터 22일까지 지역 내 의료기관과 약국에 날짜별로 순번을 정해 비상근무를 서도록 했다.
명절 비상근무는 시와 군·구가 지역 내 응급환자와 일반 환자의 진료 공백을 막겠다는 취지로 의사·약사회의 협조를 받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군·구 보건소는 최근 지역 내 의사회와 약사회에 공문을 보내 개별 병원과 약국으로부터 비상근무 희망날짜를 제출받았다.
그러나 참여 의원과 약국 대부분이 근무 희망날짜를 21일로 정하는 바람에 정작 설날인 19일엔 문을 여는 의원과 약국을 찾아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의원의 경우 21일 근무하는 곳이 538곳이지만, 설날인 19일은 27곳밖에 안 돼 20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특히 남구와 동구는 21일은 각각 112곳과 43곳이 근무를 하지만, 설날에는 단 한 곳도 문을 여는 곳이 없어 극심한 쏠림현상을 보였다. 계양구를 비롯해 연수구와 남동구 등 다른 지자체도 21일에 비해 설날 당직의원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이와 함께 ‘휴일 지킴이 약국’도 인천지역을 다 합쳐 21일 672곳이 문을 열지만, 설날에는 85곳에 그쳤다.
이처럼 의원과 약국의 비상근무 쏠림현상으로 설 연휴 시민의 불편이 우려됨에도 시는 당직근무일 지정은 권고사항일 뿐 강제성이 없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 보건정책과 관계자는 “의료기관이나 당직약국 수가 적정하지 않으면 지자체가 지역별로 안배해 약국이나 병·의원에 참여를 독려할 수 있지만, 강제사항은 아니다”며 “대부분 의원과 약국이 설날은 당직을 안 서려고 해 시 또한 난감하긴 마찬가지다”고 말했다.
김준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