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미 아동소설 ‘고작해야 364일’ 아이 성장통 유머러스하게 담아내
“나는 여태까지 나만의 새것을 별로 가져보지 못했다.
옷도 학용품도 하다못해 유모차에 딸랑이까지. 윤조가 쓰던 걸 얻어 쓰는 신세였다. 하기는, 태어났을 때 이미 방안의 모든 게 윤조 것이었다.
나는 그저 윤조의 세상에 끼어든 애 같았다. 좋은 건 다 가질 수 있는 얄미운 복덩어리. 이러니 내가 고분고분하게 형 소리를 할 수가 없다. 나, 이 집 애 맞아?”
명조는 만사가 부루퉁이다. 형 윤조 때문이다. 고작해야 364일 먼저 태어났다는 이유로 세뱃돈도 더 많이 받고, 장난감도, 새 옷도, 새 신발도 모두 다 윤조 차지였다. 심지어 열 살 인생의 로망이었던 보이스카웃 단복도 윤조에게 먼저 빼앗겼다. 할머니도 집안의 대들보라며 늘 윤조만 먼저 챙긴다. 삐뚤어진 건 이유가 있다.
아동소설 <고작해야 364일> (포북 刊)은 ‘동생’으로 태어난 것이 ‘원죄’라고 생각하는 열 살 아이 명조의 성장통을 담은 아동소설이다. 비슷한 상황에 놓인 또래의 아이라면 느낄 수 있는 미세하고 섬세한 감정을 일상적이면서도 유머러스하게 담아냈다. 고작해야>
한국 만화영화사에 220만 명이라는 유례없는 기록을 남긴 <마당을 나온 암탉> 의 저자 황선미 선생님의 신작이다. ‘가족’이라는 집단의 연대와 ‘나’라는 정체성을 동시에 탐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작들과 분위기와 구성면에서 닮은 점이 많다. 아동소설이지만 독자의 대상이 ‘아이’로만 함축되지 않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마당을>
부모의 어떤 말과 행동이 아이에게 생채기를 남길 수 있는 지, 아이의 어떤 행동과 말이 부모와 형제에게 상처를 나길 수 있는 지. 쉽지만 어려운 질문에 대해 어른과 아이, 부모와 자식의 시점에서 돌아볼 수 있는 갈등과 화해, 성장의 맥락들을 소설 속에 녹였다.
이로서 아이가 작은 마당을 나와 더 큰 세상으로 향했던 암탉 ‘잎싹’처럼 넓고 깊은 마음을 품을 수 있도록 한다. 조금은 아프고, 조금은 억울해하기도 하면서 어른이 된다는 것. 그 시간들이 쌓이고 쌓여 단단한 어른으로 자랄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책을 읽으며 조금씩 알아갈 수 있다. 값 1만원
박광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