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아웃렛, 무자비 ‘상권독식’… 패션 영세상인 84% ‘매출 반토막’

중기중앙회, 지역상권 실태조사

평균 43.5% 판매↓ 경영 타격

독점·흡수…문닫는 상인 속출

규모 작은 업체일수록 피해 커

76% “상권활성화? 되레 악화”

상생·입점규제…정부지원 시급

대기업아웃렛이 입점한 지역의 패션업종 소상공인 10명 중 8명은 매출액이 ‘반토막’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 공룡들의 공세에 영세 소상공인이 속절없이 짓밟힌 것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대기업아웃렛 인근 패션업종 관련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인 202명을 대상으로 ‘대기업아웃렛 입점에 따른 지역상권 영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84.2%가 매출이 감소했다.

이들의 평균 매출 감소량은 43.5%였다. 체감 경영상황 또한 좋지 않아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응답은 89.6%에 달했다. 특히 5점 만점으로 매긴 경영상황 점수를 보면 규모가 작을수록(근로자 5인 이상 1.9점, 3~4명 1.7점, 1~2명 1.3점)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들은 대기업아웃렛이 지역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지역상권에 도움이 됐느냐는 물음에 76.7%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 이유로는 ‘대기업의 상권 독점’(66.6%)과 ‘매출흡수에 의한 지역상인 퇴출’(27.7%), ‘지역자본 유출’(4.5%) 등이 꼽혔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방안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56.4%가 현재 상황을 극복할 별다른 방안이 없다고 답했다. 홍보 및 마케팅 증대(20.3%)와 가격인하(13.4%)를 통해 극복에 나선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아예 업종을 전환(4.0%)하거나 휴ㆍ폐업(4.0%)을 했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에 소상공인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지원 방안으로는 대기업 아웃렛 입점규제(40.1%)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대기업ㆍ중소기업 상생방안 마련(26.7%), 자금ㆍ판로 등 지원정책 확대(15.3%), 대기업 아웃렛 의무휴업제 및 영업시간 제한(8.4%) 등 순이었다.

김정원 중기중앙회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최근 대형유통업은 마트와 백화점 등의 성장정체로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고 있는데, 아웃렛 입점 확대도 그에 따른 현상으로 보인다”며 “대기업아웃렛으로 인해 중소아웃렛과 인근 패션업종 영위 소상공인의 경영난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사업영역 보호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관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