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지원은 계속 줄어 ‘70% 식량 등 공급 못받아’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 지원은 계속 줄어…전체 인구 70% 식량 등 공급받지 못해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 지원이 계속 줄어들고 있어 인구 절반 이상이 제대로 된 식량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9일(현지시각) 유엔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전체 인구 2천462만 명 가운데 70% 정도에 해당하는 1천800만 명이 기본적인 생활에 필요한 식량이나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다.
또 전체 인구의 약 25%는 기본적인 질병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백신 등 기초적인 의료 지원마저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2년 기준 북한의 5세 이하 어린이 가운데 무려 27.9%가 만성적인 영양실조를 겪는 상황이다.
아울러 북한 내에 있는 의료·보건 기관 대부분은 제 구실을 하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700만 명 달하는 주민은 깨끗한 음용수마저 공급받지 못해 영양실조는 물론 각종 질병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엔은 주로 풍수해, 가뭄과 기근, 잘못된 식량정책 등에 따른 것으로 파악한다.
하지만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규모는 지난 2004년 3억 달러(3273억 원) 정도에서 2014년에는 5000만 달러(545억 원)로 줄어들었다.
북한에 상주하는 유엔 인도주의 업무조정관 굴람 이사카이는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북한 지원이 어려워지는 것은 주로 국제사회가 북한에 취한 제재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국제기구가 북한에 인도주의적 지원 자금을 지원하려고 해도 금융 제재 때문에 자금 지원 통로가 막혀 지원이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북한은 1990년대 대기근으로 100만 명 정도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진 이후 식량 사정이 다소 좋아지기는 했지만, 농지·종자·연료·비료 부족 등으로 식량 사정이 근본적으로 나아지지 않았다. 따라서 필요 식량의 상당 부분을 국제사회의 지원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다.
유엔은 올해 북한에 대한 인도적 원조를 위해 1억1천100만 달러(1천200억 원)의 긴급 자금이 필요하다며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지만 낙관하기는 쉽지 않다.
유엔 내에서는 북한의 식량·보건 위기를 당장 해결하지 않으면 그나마 나아진 북한의 상황이 향후 10년내에 과거 수준으로 다시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국제사회 지원은 계속 줄어,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