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식량 안정생산·통일대비… 농진청 ‘중부작물부’ 역할 강화

3課 72명 구성… 중부지역 식량작물 ‘고부가가치화’ 견인
북방 농업연구 ‘전진기지화’ 종자생산 등 시스템 구축 추진

지난해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특별법 시행으로 전주혁신도시로 떠난 농촌진흥청이 수도권 지역의 작물 연구와 통일시대를 대비한 북방 농업 연구를 추진하기 위해 수원에 신설한 중부작물부의 기능을 강화한다.

농진청은 지난 1월 직제개편에 따라 신설된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의 현황과 중점 추진 과제를 14일 발표했다.

우선 중부작물과와 수확후이용과, 재배환경과 등 3과 72명으로 구성된 중부작물부는 2출장소(춘천·철원), 4시험지(이천, 연천, 진부, 남양)를 관할하게 된다.

중부작물과는 중·북부지역에 적응하는 주요 식량 작물 품종을 개발하고, 수확후이용과는 식량 작물의 수확 후 관리와 소비 확대에 관한 연구를 추진한다. 또 재배환경과는 중·북부지역에 알맞은 작물별 재배 순서를 개발하고, 토양 비옥도를 높이는 한편 병해충 방제 기술 연구를 추진하게 된다.

특히 중부작물부는 식량 작물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산업화 연구를 확대함과 동시에 중·북부지역의 식량 작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반을 갖추는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또 국산 식량 작물의 소비 확대를 위해 원료곡의 품질 관리와 기준을 설정하고, 가공 제품별 최적 품종 선발과 농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가공제품화 기술을 개발해 산업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부작물부는 통일에 대비해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북방 농업 연구 기반을 갖춘 전진기지 역할도 맡게 된다.

이를 위해 중부지역 맞춤형 종자 생산 기술과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중·북부지역의 농업 환경이 북방 지역과 비슷한 장점을 살려 북방 지역 기상정보를 활용한 작물 생육 반응 연구도 강화할 예정이다.

또 곡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중·북부지역 작물별 재배 조합(작부체계)을 개발, 권역별 거점 단지(2015년 안성 등 2개소→2017년 철원 등 5개소로 확대)를 조성할 계획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수도권에는 우리나라 인구의 61%가 집중돼 있으며, 국내 식품산업체 중 절반 이상이 밀집해 있어 중부작물 연구의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며 “식량 작물의 지속적인 소비 확대를 위한 가공·이용 기술 개발과 중·북부지역에 알맞는 농업 기술 개발을 강화함과 동시에 다가오는 통일시대를 대비해 북방 농업 연구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