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서구지역 주민들이 분노하는 이유

인천 서구지역 주민들의 분노가 솟구치고 있다. 인천시가 공표 추진한 지역의 굵직한 숙원사업들이 주민들의 기대와 달리 무산되거나 장기 표류되면서 이들의 불만이 울분으로 표출되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 20일 서구 대곡동에 중앙대학 인천캠퍼스를 조성하기 위해 고시했던 검단 캠퍼스타운 도시개발구역 지정을 취소했다. 중앙대 인천캠퍼스 유치사업은 검단신도시 대곡동 일원 99만 5천㎡ 부지에 대학교·대학병원·연구시설과 공공시설 및 주상복합건물 등 대학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추진해왔다.

인천시와 중앙대는 2010년 중앙대 인천캠퍼스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를 교환하고 2013년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때 1년 내에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고 실시협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와 치밀하지 못한 계획 등으로 사업이 진전되지 못했고 결국 5년 만에 무산됐다. 주민들의 기대도 무너졌다.

문제는 이것만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중앙대 유치를 전제로 추진해온 인천지하철 1호선 연장 건설계획 역시 대폭 축소가 불가피하게 됐다. 연쇄적인 후폭풍이다. 인천시는 중앙대 유치를 대비한 광역교통 개선 대책으로 현재의 1호선 종점인 계양역에서 대곡동까지 9.3㎞를 연장, 3개역을 건설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중앙대 유치 무산으로 1호선 연장도 당초 구상과 달리 택지개발이 끝난 당하·원당동 일원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때문에 검단지역 주민은 내년 7월 개통 예정인 인천지하철 2호선(서구 오류동~인천대공원)외엔 별도의 교통 인프라 구축을 기대할 수 없는 상태다. 지난 2005년 주택단지 조성 이후 10여 년째 겪는 교통 불편을 계속 겪게 됐다. 또 1호선 연장 차질은 향후 검단신도시 추가 조성사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지역민들을 화나게 하는 건 이것만이 아니다. 서구 가정오거리 일대 97만 2천㎡에 입체복합도시를 조성하는 루원시티 개발사업도 지지부진하다. 2006년 사업지구로 지정된 이후 10년 만인 내년부터 재추진한다지만 장담할 수 없다. 그동안 사업의 결정적 좌초 원인이 됐던 문제점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다. 우선 개발지 조성원가가 턱없이 높다. 3.3㎡당 2천 120만 원으로 송도(194만 원)보다 10배가량 비싸 사업의 최대 암초가 되고 있다. 게다가 2016년까지 사용하기로 한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역시 사용 연장 쪽으로 기울고 있어 지역민들이 크게 분개하고 있다. 이제 악화된 민심을 진정시킬 당국의 깊은 배려와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