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전국 주택거래량 11만675건… 10년새 ‘최대’

실수요자들이 전세난 여파로 주택 구입에 나서면서 7월 주택거래량이 지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7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이 11만675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43.2% 늘어났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전세난이 지속되면서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집을 구매하는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 시장 회복 기대감에 힘입어 전세 대신 주택 구매를 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200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가장 많은 것이다.

지역별 거래량은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이 3만3천65건, 지방이 4만4천221건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72.7%, 21.1% 늘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5만2천832건) △연립ㆍ다세대(1만2천697건) △단독ㆍ다가구(1만1천757건)가 각각 40.3%, 56.7%, 41.7% 증가했다.

올해 1~7월 누적 거래량은 72만1천471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1.0% 증가했다. 누적 거래량 역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전국의 주요 아파트 단지 실거래가격은 강남권 재건축 단지는 상승세, 수도권 일반단지는 강보합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 개포 주공1차 49.56㎡(5층)는 6월 8억9천만원에서 7월에는 9억원으로 올랐고, 경기지역에선 고양 일산 큰마을대림현대 84.73㎡가 6월 2억5천500만원에서 7월에는 2억6천250만원으로 올랐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