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만4천197명 표창 대상자 중 4천921명분 여전히 행자부 보관 ‘발굴조사’로 포상자 대다수 선정 부족한 자료… 후손 찾기 어려워
올해로 광복 70주년을 맞았지만 정부가 독립유공자에게 추서한 훈·포장과 표창 상당수가 주인을 찾지 못한 채 행정자치부에 보관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지난 1949년부터 오는 광복절까지 독립유공자로 인정돼 훈·포장을 받은 이는 건국훈장(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1만407명, 건국포장 1천132명, 대통령표창 2천658명 등 모두 1만4천197명이며, 이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4천921명에 대한 훈·포장이 후손을 찾지 못해 여전히 행정자치부에 보관돼 있다. 이 가운데 경기도에 본적을 둔 독립유공자는 270여명 가량이다.
경기도 장단에서 태어난 김수민 의병장은 1907년 의병을 모집해 십삼도총도독이 됐고, 화약과 탄환을 스스로 제조해 각지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수많은 전과를 거뒀다.
그는 장단 덕음동 일대에서 항일 투쟁을 하던 중 전투에서 패하자 재기를 위해 마부로 가장, 서울에 잠입해 정세를 탐지하던 중 체포돼 1908년 12월17일 옥중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1962년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독립장이 수여됐지만 50년 넘게 주인의 품을 찾지 못하고 있다.
또 강태성 선생(당시 수원군 출신)은 1919년 4월5일 향남면 발안 장날을 이용,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했다. 특히 그는 1천여명의 군중과 함께 만세운동을 벌였고, 충돌 과정에서 일본인 순사부장이 시위군중의 돌에 맞아 살해되기도 했다.
이후 일본 군경은 이에 대한 보복으로 1919년 4월15일 양민들을 제암리 교회로 모이게 했고, 강태성 선생 등 30여명을 학살했다. 정부는 1991년 그를 기리기 위해 애국장을 추서했지만 여전히 전달되지 못했다.
이처럼 독립유공자 훈·포장이 전달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지난 1995년을 기점으로 유공자 포상의 95%가 ‘유족 신청’이 아닌 ‘발굴조사’에 의해 이뤄져 후손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독립유공자 대다수가 재적등본이 불명확한데다 6·25전쟁 당시 소실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독립유공자 대부분이 젊은 나이에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후손이 없거나, 설령 있더라도 만주 등 해외에서 활동함에 따라 외국에 있는 경우도 상당하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아직까지도 수많은 독립유공자의 후손을 찾지 못해 안타깝다”면서 “제70주년 광복절을 맞아 미전수 훈·포장의 주인을 찾기 위해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운동을 벌이고 있지만, 기록이 남아 있지 않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어려움이 많다”고 밝혔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