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교수 투신.
부산대 교수가 총장 직선제 폐지에 반발, 투신해 숨졌다.
이런 가운데 김기섭 총장이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전격 사퇴했고, 학교 측은 간선제로 추진하던 차기 총장 후보 선출 절차를 중단하고 총장 선출 방식을 교수회와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대학 측에 따르면 지난 17일 오후 3시20분께 부산 금정구 장전동 부산대 본관 4층에서 이 대학 국문과 고모 교수(54)가 투신했다.
고 교수는 투신 직후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현장에선 A4 용지 2매 분량의 유서가 발견됐더.
유서에는 “대학에서 민주주의를 수호하려면 총장 직선제 에 다른 방법이 없다. 이를 위한 희생이 필요하다면 감당하겠다”는 글이 적혀 있었다.
김 총장은 이날 밤 9시55분께 대학 본관 앞 교수회 농성장을 방문, “이번 사태에 책임을 지고 참회하는 마음으로 사퇴한다”고 밝혔다.
또 간선제로 추진하던 차기 총장 후보 선출 절차를 모두 중단시키고 대학본부가 교수회와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도록 했다.
앞서, 대학 본부와 교수회는 차기 총장 선거 방식을 둘러싸고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었다.
부산대는 지난 6월 투표를 통해 총장 선출 방식을 정하겠다던 당초 약속을 뒤집고 간선제 전환을 추진했다.
김 총장은 지난 4일 교수들에게 보낸 이메일과 교내 통신망에 올린 성명을 통해 “차기 총장 후보자를 간선제로 선출하기로 최종 결정했다”며 “약속한 총장 직선제를 지키지 못해 다시 한번 사과하고 교수회와 합의에 이르지 못해 매우 아쉽다”고 밝혔다.
이에 교수회가 이틀 뒤 평의회를 열어 총장 간선제 절차를 저지하기로 결정하고, 김재호 교수회장이 대학본부 앞에서 단식농성을 시작했다.
이후 일부 교수가 동조 단식에 들어가는 등 내홍이 계속됐고, 김재호 회장은 17일 건강악화로 병원에 입원했다.
교육부는 그동안 총장 직선제 폐지를 받아들이지 않는 학교에 대해 행·재정적인 지원을 대폭 축소하겠다고 압박해왔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