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공동보도문에 ‘이산 가족상봉’ 포함, 내달초 적십자 실무접촉
남북이 고위 당국자 접촉에서 이산가족 상봉 재개에 합의함에 따라 다음달 추석께 이산가족들이 상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기에 이산가족 상봉이 정기화될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25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발표한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 공동보도문에는 남북이 올해 추석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기로 했다. 또 양측이 이산가족 상봉을 계속하기로 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남북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실무 접촉을 다음달 초 갖기로 하고 상봉 재개에 필요한 방법과 시간, 장소와 같은 절차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논의 결과에 따라 ‘민족의 명절’이라는 상징성이 있는 다음달 추석을 전후해 금강산 등의 장소에서 상봉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공동보도문에도 ‘올해 추석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을 진행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앞서 지난 1985년과 2002년, 2009년에 추석을 전후로 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렸다.
상봉 장소의 경우 지난 2002년 이후에는 모두 금강산에서 행사가 열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금강산 상봉이 유력하다.
이번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은 당초 북한의 무력 도발로 인한 군사적 충돌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시작됐지만 무박 4일 장시간동안 이어진 회담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 문제도 의제로 형성됐다.
특히 남한 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적극 타진해왔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연내에 남북 이산가족 명단 교환을 실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상봉 재개 의지를 강력하게 밝히기도 했다.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1988년부터 올해 7월31일까지 이산가족으로 등록된 국내외 인사는 12만9천698명?, 이중 올해 6월 말까지 사망 사실이 확인된 사람은 6만3천406명(48.9%)이다. 생존자 6만6천292명 중 절반 이상인 3만5천997명(54.3%)도 80세 이상의 고령자이다.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1985년 남북한 고향방문단이 서울과 평양을 교환 방문한 이후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매년 한차례 꼴로 열리던 상봉은 이후 천안함 사건 등으로 인해 남북관계가 경색괴면서 2010년 제18차 상봉 이후 성사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