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주도적 외교’ 시동

한중 관계 강화로 ‘한미일 vs 북중러’ 구도서 다층·중층적 구도 변모

박근혜 대통령의 폭넓은 외교활동이 동북아 외교·안보 지형의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박 대통령의 이번 중국 방문을 계기로 한중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혈맹이었던 북중이 핵문제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소원해지면서 동북아 역학관계가 기존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에서 다층, 중층적 구도로 변모해가는 모습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3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의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를 계기로 그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은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동북아 외교전에서 본격적인 주도권 잡기에 나섰다.

중국의 ‘군사굴기’를 경계해 미국을 비롯한 서방권 정상들이 한 명도 참석하지 않은 중국의 전승절 기념행사에 파격적으로 참석한 것이 그 출발점이다.

북핵 문제의 해결과 한반도의 평화·안정, 궁극적으로는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는 중국의 적극적인 협조가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중국과의 적극적인 거리 좁히기에 나선 것이다.

또 박 대통령은 이번 방중을 통해 한중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북핵 불용과 한반도 비핵화, 의미 있는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 긴장고조 행위 반대 등에 대한 중국 측의 지지를 재확인했다.

이어 이달 말 미중 정상회담, 10월16일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북핵 등 한반도 문제의 이슈를 계속 살려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박 대통령이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10월말이나 11월초를 포함한 상호 편리한 시기에 한국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도 의미가 적지 않다.

한중일 정상회담을 통해 우리가 주도적 외교를 펼칠 수 있고 특히 이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해 과거사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한일관계 개선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