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 입석금지 1년
무리하게 좌석 4~8석 늘려
간격 협소… 다리도 못펴
“닭장에 갇힌듯” 불편호소
49인승 광역버스가 도입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승객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좌석 수 늘리기로 인해 불만의 목소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9월 정부의 광역버스 입석 금지 조치의 대안으로 기존 41ㆍ45인승 버스보다 좌석이 4∼8석 늘어난 49인승 대용량 버스가 국내 최초로 도입됐다. 현재 경기지역에서는 49인승 버스 74대가 운행 중이다.
그러나 기존의 45인승과 길이ㆍ너비가 같은 49인승 버스는 기존의 10줄에서 1줄(4석)을 추가해 11줄로 늘렸고, 이로 인해 좌석의 앞뒤 간격은 좁아졌다. 입석금지가 시행되면서 발생한 좌석난을 해결할 방안으로 도입됐지만, 대신 그 불편이 승객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진 셈이다.
지난 4일 오전 8시께 서울로 출근하는 직장인들과 통학하는 대학생들은 수원역에서 사당역 방면의 7770번 버스에 차례차례 올랐다. 이 버스는 49인승 버스로 뒷문 없이 11줄의 좌석이 빼곡하게 놓여 있었다. 승객들은 이른 아침 시간에 사당역까지 1시간을 넘게 가야 하다 보니 잠을 청하려 했지만 쉽지 않았다.
좁은 앞뒤 간격 탓에 등받이를 뒤로 조금도 눕히지 못한 채 직각으로 앉아있었고, 이 상태에서도 무릎이 앞좌석에 닿았기 때문이다. S씨(28ㆍ여)는 “체구가 작은데도 무릎이 앞좌석에 닿으니 앉아있기도 불편해 도무지 잠을 잘 수가 없다”면서 “옆에 남자 승객이 앉으면 좁은 공간에 둘이 밀착해야 하는 수준이다”고 말했다.
또 5일 밤 11시께 강남역 5번 출구 앞에는 수원방면으로 가는 광역버스를 타기 위해 노선마다 줄이 길게 늘어져 있었다. 수원버스터미널 방면의 3007번 버스에 탑승한 승객들도 역시 좁은 공간에 불편을 호소했고, 통로 쪽에 앉은 남자 승객들은 아예 다리를 밖으로 빼놓고 앉아있었다.
J씨(27)는 “이전과 다르게 앞좌석과 간격이 너무 좁아 다리를 둘 곳이 없다”면서 “입석 승객까지 꽉 차면 닭장 속에 갇힌 기분이다”라고 분개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무조건적인 증차가 어렵기에 49인승을 도입했다”면서 “승객들이 느끼는 불편함이 있지만 49인승 버스의 도입으로 입석률이 줄고 있어 광역버스 좌석제 정착을 위한 과정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