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용량 가전 5%→3.5% 사치품 부과 500만원이상 ‘상향’ 백화점 “한파 여전…효과 미미”
정부가 내수활성화를 위해 지난달 개별소비세 인하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현장에서의 효과는 미미해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도내 백화점 업계 등에서는 사실상 개별소비세 인하로 인한 매출 증가를 찾아보기 어려워 소비자들의 굳게 닫힌 지갑을 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6일 제16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메르스 여파 등으로 얼어붙은 내수를 활성화하고자 자동차와 가방과 귀금속, 대용량 가전제품 등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인하하거나 과세기준 가격을 조정하기로 했다.
시계·가방·모피·보석 등 사치품목에 붙는 개별소비세 부과 기준을 출고가(또는 수입신고가) 200만원 이상에서 500만원 이상으로 조정했고, 대용량 가전제품에 붙던 세율은 기존 5%에서 3.5%로 낮췄다. 자동차 개별소비세도 올해 말까지 5%에서 3.5%로 한시적으로 낮춘다.
하지만, 도내 백화점업계에서는 여전히 소비 심리 회복을 체감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갤러리아 수원점은 정부가 이 같은 방안을 발표한 지난 26일 이후부터 지난 6일까지 고가 가방과 시계, 보석류 등 사치 품목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오히려 하락했다.
AK 수원점의 경우 모피, 시계, 해외명품, 가전제품 등에 대한 매출이 전주 대비 10% 이상 올랐고 롯데백화점 수원점에서도 관련 품목의 매출이 평소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이는 웨딩시즌과 함께 아파트 신규 입주민들의 수요 증가로 관련 품목의 프로모션을 진행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정부의 대대적인 소비심리 살리기에도 현장의 반응이 미지근한 이유는 불경기로 고가 상품에 대한 수요 자체가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도내 백화점 관계자는 “개별소비세 인하로 비용 부담이 줄었지만,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상황에서 고가의 사치품을 살 수 있는 소비자들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개별소비세 인하에서 가장 큰 핵심인 자동차 부문은 실제 구입이 늘어나는 등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사치품목에 대해서도 내달 말께는 유통업계와 소비자 모두 만족할 수 있을 만큼 소비 활성화가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