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1%는 평균 소득보다 7배 많아 “양극화 해소위해 최고세율 올려야”
지난해 10억원 이상의 수입을 올린 고액연봉자는 1천868명에 달한 반면 근로자 63%는 3천150만원 미만의 연봉을 받고 있어 소득 양극화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새정치민주연합 윤호중 의원(구리)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한국납세자연맹과 공동으로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순수 근로소득기준으로 지난해 연봉 1억3천500만원 넘는 상위 1%는 17만8천830명, 3억5천만원 넘는 상위 0.1%는 1만5천990명, 10억 넘는 0.01%는 슈퍼리치는 1천868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근로소득자 중 상위 1%에 들기 위해서는 매달 1천125만원을 받아야 하는 셈이다. 상위 1%의 고액 근로소득자는 총 17만8천830명으로, 이들의 평균연봉은 2억2천20만원, 월급으로 치면 1천835만원이다.
근로소득 상위 0.1%안에 드는 1만5천990명은 1년에 최소 3억5천만원을 벌었으며 이들의 평균연봉은 6억6천256만원이었다. 상위 10%는 연봉 6천700만원 이상으로, 지난해 기준 169만2천22명이었으며 상위 5%는 연봉 8천500만원 이상이 돼야 한다.
반면 지난해 연말정산 검증 근로소득자 1천618만7천647명의 평균 소득은 3천172만4천658원으로, 월 평균 264만원이 조금 넘는다. 상위 1%의 평균연봉과 약 6.94배 차이를 보였다.
윤 의원은 “평균연봉에도 미치지 못하는 월급으로 생활하는 근로자들이 1천만명이 넘고 있지만 소득세 최고세율 기준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는 사람도 수만명인 상황”이라며 “소득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소득세율 최고구간을 세분화하고 현행 38%인 최고세율도 끌어올려야 한다”고 밝혔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