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반 고흐는 살아있을 때 지지리도 불운했다. 무명화가에다가 정신병자라는 꼬리표마저 달려있으니, 어딜 가나 찬밥 신세였다. 1890년 7월 29일, 서둘러 치러진 그의 장례식에 마을사람들은 코빼기도 내밀지 않았다.
그로부터 정확히 100년이 지난 1990년 7월 29일, <르몽드> 지는 이 마을에서 다시 치러진 반 고흐의 장례식을 소개했다. 5백여 명이 운집한 가운데 미사와 행진을 곁들인 성대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 신문은 그 장례식의 의미를 이렇게 정리했다. ‘과거의 무관심’에 대한 ‘속죄’라고. 르몽드>
영화 <암살> 의 열기가 대단하다. 암살>
현대인이 영화관을 찾는 이유야 다양할 테지만, 변영주 감독의 분류체계로는 두 가지로 나뉜단다. 하나는 스트레스를 ‘풀러’ 가는 유형이고, 다른 하나는 스트레스를 ‘먹으러’ 가는 유형이다. <암살> 의 경우는 후자에 속한다. 그리고 후자의 영화들은 관객을 동원하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암살> 이 인기몰이에 성공했다는 것은 이 영화가 차지하는 좌표가 범상치 않다는 뜻이다. 암살> 암살>
<암살> 의 시대 배경은 1933년,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켜 중국 동북지방을 점령한 뒤 만주국을 성립한 직후다. 이 전쟁은 바야흐로 태평양전쟁의 서막이었으므로, 조선 식민지 백성에게는 일제의 무소불위한 힘을 절감케 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암살>
영화를 보면, 안옥윤(전지현 역) 일행이 만주를 떠나 경성역에 도착하는 장면이 나온다. 그 순간, “6시 시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안내방송에 따라 일장기 하강식이 이루어지는데, 구내에 있던 사람들이 일제히 일장기를 향해 묵념을 한다. 3ㆍ1운동 때까지만 해도 하늘을 찌르던 반일ㆍ항일 정신은 다 어디로 갔나. 완전히 백기를 든 모습에 안옥윤 일행은 아연실색한다.
‘안’의 눈에는 한없이 익숙한 행태가 ‘바깥’의 눈에는 도무지 생경하게만 보인다. 내가 속한 문화에서는 아무렇지 않게 통용되는 행동이 남의 문화에서는 금기인 경우가 많다. 그러니 인간을 구원하는 건 바깥인가 싶기도 하다. 귀 닫고 눈 가리고 안에만 갇혀 있으면 염석진(이정재 역)처럼 되지 말라는 법이 없을 테다. 일본이 망할 줄 몰랐다는 그의 말은 바깥을 부정한 데서 나온 오판이었다. 일제의 조선 침략에 끝내 항의하고 저항하면서 독립전쟁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수두룩한 그 바깥을.
<암살> 은 우리 역사에서 슬그머니 밀쳐두었던 바깥의 경험을 안으로 소환한다. 해방과 전쟁, 분단으로 이어진 숨 가쁜 현대사를 거치는 동안, 어떻게 만주가, 만주를 수놓았던 무수한 ‘그들’의 이야기들이 ‘암살’ 당했는지를 보여준다. 하여 이 영화를 보러 가는 일은 일종의 속죄의식인 것이다. 광복 70년이 되도록 그들에게 정당한 자리를 찾아주지 못한 우리 사회의 집단적 죄악을 회개하는 일이다. 암살>
회개는 그리스어로 ‘메타노이아’(metanoia)라고 한다. 의식의 변화를 가리키는 말이다. 로마제국의 질서가 전부인 줄 알았는데, ‘하나님의 나라’라는 바깥과 접속하고 나니 순 거짓말이다. 이 깨달음으로 과거와 전혀 다른 삶을 살아내는 것이 성경이 말하는 회개다.
그러니까 <암살> 을 보며 그저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수준의 감상에 머문다면, 그건 진정한 회개가 아니다. 뒤틀린 역사를 바로잡아 올바른 역사를 곧추세우려는 의식적인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 역사와 유리된 영혼구원이란 종교적 허상일 뿐이라는 것, 광복 70년에 <암살> 이 주는 또 하나의 깨우침이다. 암살> 암살>
구미정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외래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