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류탄 투척·비행 경기· 고공강하… ‘군인 특화’ 이색종목 눈에 띄네

10월 2일 개막하는 2015 문경 세계군인체육대회에서는 군인들의 스포츠잔치인 만큼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한 ‘군인 특화’ 종목들이 다양하게 펼쳐진다.

세계군인체육대회에서 치러지는 종목은 총 24개 종목 가운데 군인체육대회에서만 볼 수 있는 육군 5종, 공군 5종, 해군 5종, 오리엔티어링, 고공강하 등 5개 종목이 눈길을 끈다.

 

■ 육군 5종, 수류탄 투척 ‘눈길’

육군 5종은 300m 소총사격(엎드려쏴 자세 정밀사격 10분, 속사 1분), 500m 장애물 달리기, 50m 장애물 수영, 수류탄 투척(정밀·원거리), 크로스컨트리(남8㎞, 여4㎞) 등 5종목으로 구성된다.

소총 사격에서 정밀사격은 엎드려 쏴(복사) 자세에서 10분 동안 10발을 전자표적에 사격하는 방식이다.

또 속사는 1분 동안 10발을 모두 쏴서 정확성과 속도를 측정한다. 장애물 달리기는 ‘지옥의 종목’으로 500m 구간에 설치된 20개의 장애물(여자는 16개 장애물)을 뛰어넘는 경기다. 장애물 수영은 50m 직선 구간에 설치된 수중 장애물 4개를 통과하는 종목으로 영법에 상관없이 이른 시간에 주파하는 게 관건이다.

육군 5종에서 다른 종목과 차별되는 종목은 투척이다. 수류탄 모양의 투사물을 이용해 표적에 정확히 던지는 ‘정밀 투척’과 멀리 던지는 ‘장거리 투척’으로 구분되며 두 가지 점수를 합쳐서 순위를 결정한다. 이밖에 8㎞(여자 4㎞)를 달리는 크로스컨트리는 체력의 한계를 시험하는 종목이다.

■ 해군 5종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라!’

해군 5종은 해군의 특성답게 수영과 관련된 종목이 주를 이룬다. 해군 5종은 장애물 달리기, 인명구조 수영, 다목적 수영, 선박 운용술, 수륙양용크로스컨트리로 구성된다. 장애물 달리기는 500m 구간에 설치된 10개의 장애물(여자 9개)을 통과하는 경기로 육군 5종의 장애물 달리기와 비슷하다.

인명구조수영은 75m 레이스로 처음 50m는 자유형으로 수영하고 나서 나머지 구간은 수심 4m 바닥에 놓인 인형을 건져 올려 한 손으로 잡고 주파해야 한다. 또 125m를 주파하는 다목적 수영은 우선 오리발을 신고 출발해 25m 지점에 놓인 모형 소총을 집어들고 50m 지점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어 100m 지점까지 헤엄쳐서 매듭을 풀은 뒤 나머지 지점까지 먼저 이동하는 선수가 승리한다.

또한, 선박운용술은 해상에서 함정운용과 관련된 기술을 평가하는 종목이고, 수륙양용 크로스컨트리는 총 2.5㎞의 거리에서 달리기, 소총사격, 고무보트 이동(100m), 수류탄 투척, 달리기 등으로 구성된다.

■ 공군 5종, 장교·사관생도만 출전 가능

공군 5종은 육군 및 해군과 달리 ‘비행 경기’ 종목이 포함돼 장교와 현역 사관생도만 출전할 수 있다. 명칭은 ‘5종 경기’지만 비행 경기에 권총 사격, 수영, 펜싱, 볼 다루기, 장애물 달리기, 오리엔티어링(독도법)까지 합쳐져 사실상 7종 경기로 치러진다.

비행 경기는 출전 선수가 주최국 조종사가 조종하는 항공기에 항법사로 나서 이·착륙 및 체크 포인트를 지나는 시간과 거리 오차를 따져 점수를 매긴다.

나머지 종목은 불시착한 조종사의 탈출과 연관이 깊다. 권총 사격과 펜싱은 탈출과정에서 맞닥뜨린 적과의 전투를 가상한 것이고, 수영과 장애물 달리기, 오리엔티어링, 볼 다루기는 탈출 과정에 필요한 핵심 요소다.

■ 오리엔티어링과 고공강하

오리엔티어링은 경북 영주의 소백산맥에서 펼쳐진다. 참가자들에게는 지도와 나침반을 주고, 출발점에서 통과지점을 지나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는 게 과제다.

개인 중거리, 개인 장거리, 단체경기, 릴레이 등 다양하게 치러진다. 낙하산을 통한 적진 침투를 가상한 고공강하는 정밀 강하(개인 및 단체), 스타일(개인전), 상호활동(단체전) 종목으로 나뉜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