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복지시설 3곳중 1곳 ‘석면 위험’ 노출

인천 347곳중 122곳 ‘석면건축물’ 지자체 관련 교육 뒷전 사실상 방치

인천지역 복지시설 3곳 중 1곳은 석면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데도 지자체는 예산난 등을 이유로 뚜렷한 해결책을 내놓지 않고 있어, 노약자들의 건강을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자스민 의원(새누리·비례)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노유자시설 건축물 석면 조사현황’자료에 따르면, 인천지역 조사대상 347곳 중 122곳이 석면건축물로 조사됐다.

현행법상 석면 건축자재가 사용된 면적의 합이 50㎡ 이상이거나 석면이 함유된 분무제, 내화 피복재를 사용한 시설은 석면건축물로 규정된다.

이런데도 인천시와 일선 군·구는 각 시설 대표자를 석면관리인으로 지정만 했을 뿐, 석면 위험성이나 대처방안 등에 대한 안내와 교육이 미흡해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석면은 매우 미세한 섬유형태의 광물로 소량이라도 폐에 들어가면 호흡기 질환 및 악성피종 등 질병을 유발하는데도 이들 기관은 별다른 대처가 없다. 이 때문에 시설을 이용하는 노약자들의 건강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건축자재에 석면이 함유된 것만으로는 당장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서 “건물 철거 및 증축 과정에서 석면 비산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는 만큼 고용노동부가 지정한 전문 업체를 통해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