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시니어 제품.
전경련 시니어 제품 중요성 강조 “新성장동력 日서 배워야”…경험+접근성+표준화가 관건
전경련은 ‘노인의 날’(2일)을 앞두고 미래의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시니어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1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중·일의 시니어(만 65세 이상) 인구는 현재 1억7천만명으로, 오는 2030년에는 2억9천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노인 인구 증가 추이를 감안하면 시니어제품은 미래의 주력 수출산업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갖췄다.
그러나,아직까지 국내 시니어제품 분야는 초기 단계이다.
시니어제품의 종류 및 관련 정보가 별로 없고 살 수 있는 유통망도 미흡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세계 1위 초고령국가인 일본은 지난1990년대 초반부터 전국 81개 시니어제품 상설전시·체험관을 운영하며 시니어산업을 활성화해왔다.
특히 오사카의 ‘ATC 에이지리스(Ageless)센터’에는 시니어 개조 차량, 전동휠체어 등 고가의 제품부터 주방, 욕실 등 일상용품까지 2천여 종류의 시니어용품들이 전시되고 있다.
반면, 우리는 성남과 대구, 광주 등 3곳에서 시니어 체험관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규모가 큰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의 경우 연간 방문자수가 일본 오사카 대비 7분의 1 수준인 3만여명에 그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의료기기점을 방문해야만 소수의 시니어용품을 접할 수 있지만, 일본은 동네 편의점이나 쇼핑몰, 백화점 등 어디서든 다양한 상품들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일본은 시니아 식품의 표준화에도 앞서가고 있다.
기업별로 다른 시니어 식품 규격을 하나로 표준화했고, 매뉴얼을 통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식품별 경도를 1~4단계로 수치화, 제품 앞면에 표기하는만큼 어떤 식품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전경련 고위 관계자는 “시니어 산업의 성공은 써보니 편리하다는 경험 확산이 주요 관건”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