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잠정 영업익 ‘7조3천억’
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연결기준 7조3천억원으로 지난 2분기 영업이익 6조9천억원보다 5.80% 증가했다.
이는 실적 최저점을 찍었던 지난해 3분기 4조600억원 보다 79.80% 급증한 수치다. 이로써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지난해 4분기부터 4분기 연속 반등하며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3분기 매출액은 51조원으로 지난 2분기 48조5천400억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DS(부품) 부문은 지난 2분기에 이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실적개선을 이끌었다. DS 중 반도체 부문은 3분기에 3조6천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지난 1분기 2조9천300억원, 2분기 3조4천억원보다 실적이 더 올랐다.
DS 중 디스플레이 부문 역시 3분기에 7천억∼8천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실적 향상에 이바지했다. 디스플레이에서 이같은 영업이익이 나온 것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부문의 원가가 큰 폭으로 개선된
다 삼성전자가 ‘갤럭시J시리즈’에 OLED 디스플레이를 채택해 OLED 출하량이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3분기 원ㆍ달러 환율이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달러 결제로 부품공급이 이뤄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DS 부문의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삼성전자 실적의 핵심인 스마트폰 관련 IM(ITㆍ모바일) 부문은 1분기(2조7천400억원), 2분기(2조7천600억원)와 비슷한 2조원대 중반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판매량은 8천만대를 넘은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중저가 제품 비중 확대에 따른 것으로 평균판매단가(ASP)는 오히려 하락해 매출과 수익성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갤럭시S6와 S6엣지, 갤럭시노트5와 갤럭시S6엣지 플러스 등 대표 제품이 잇따라 출시됐지만, 판매량 측면에서 기대치에 다소 못 미친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에 대해 어닝 서프라이즈라는 반응이다. 어닝 서프라이즈는 증권업계의 평균 전망치를 크게 뛰어넘는 실적이 나왔을 때 쓰는 용어다. 증권업계는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 2분기보다 다소 떨어진 6조6천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