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등 수도권 가구가 최근 5년간 쌀을 사는 데 사용한 금액은 연평균 약 19만원으로 집계됐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최근 농촌진흥청과 공동으로 2010~2014년까지 5년간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703가구의 쌀 구매행동을 조사한 결과, 이들 가구의 연평균 쌀 구입액은 18만9천269원으로 조사됐다고 11일 밝혔다.
쌀 유형별로는 일반미가 14만2천123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미 2만9천481원, 찹쌀 1만1천919원, 흑미 5천359원, 기타 387원 등이었다.
일반미 구입액은 2010년 13만8천361원에서 지난해 14만7천479원으로 소폭 늘었지만, 전체 쌀 구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7.0%에서 74.3%로 줄었다. 반면, 현미 구입액은 2010년 2만5천308원에서 지난해 3만1천730원으로 증가했고, 비중 역시 14.1%에서 16.0%로 커져 건강에 대한 관심도를 반영했다. 일반미와 현미 외에 찹쌀과 흑미가 지난해 전체 쌀 구입액에서 각각 6.0%, 2.9%의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쌀 구매액은 19만8천622원으로 4년 전인 2010년(17만9천802원)보다 9.4% 증가했다. 쌀 소비량이 줄었지만, 쌀값이 오르면서 구입액 역시 증가한 것이라고 도농기원은 설명했다. 1가구당 쌀 소비량은 2010년 72.8㎏에서 지난해 65.1㎏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특히 핵가족화와 쌀 소비량의 감소를 반영한 듯 일반미의 구입 규격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20kg 포대 구매 비율은 지난 2010년 64.9%에서 지난해 58.4%로 낮아졌고, 40kg 포대도 같은 기간 10.5%에서 6.5%로 감소했다. 반면, 소량인 10kg 포장은 2010년 18.0%에서 지난해 27.6%로 크게 증가했다. 1kg, 2kg, 4kg 같은 소포장 구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도농기원 관계자는 “소포장 구매가 느는 것은 가정에서 쌀소비가 줄어들고 외식이 발달하는 데 따른 당연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