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지 20년 다 된 비좁은 건물… 공간 부족 별관동 ‘두집 살림’
도지사 직속 기관 상징성·업무 효율성 위해 일부라도 입주 필요
경기도가 재난안전본부의 광교 신청사 이전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재난안전본부가 도민 안전을 위해 광교 신청사에 재난본부의 행정 및 상황 근무인력이 함께 입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도에 전달한 가운데 공간 확보 및 재원 마련에 도가 애를 먹고 있는 것이다.
26일 경기도 관계자는 “최근 재난안전본부가 광교에 들어설 도청 신청사에 함께 입주하길 원한다는 뜻을 전해 왔다”며 “도청 신청사 설계에 재난안전본부는 반영돼 있지 않은 상태로 만약 본부가 함께 입주하면 소요예산이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돼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 1996년 수원시 남부소방서 개소 당시 함께 입주한 경기도재난안전본부는 20년이 다 되도록 현 건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공간 부족으로 최근 별관동을 지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현재 6천600여명 가량인 경기도 소방공무원은 올해에만 600여명이 충원되는 등 오는 2022년까지 4천명 가량이 충원될 예정이어서 재난안전본부의 확장ㆍ이전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도는 지난해 광교 신청사 건립을 검토하면서 재난안전본부가 현 도청사를 사용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했었지만 최근 현 청사를 수원시가 매입하는 방안이 논의되면서 이 계획안은 백지화됐다.
이에 재난안전본부는 본부 전체가 광교 신청사로 이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행정인력과 상황근무 인력만이라도 도청사에 함께 입주해야 한다는 입장을 최근 도에 전달했다.
재난안전본부는 이미 신청사 단지 내에 소방종합상황실이 들어서기로 한가운데 남경필 경기지사가 도지사 직속으로 재난안전본부를 편제하는 등 ‘안전도지사’를 표방하고 있어 상징성을 위해서라도 재난안전본부가 도청사 내에 입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노후화된 현 청사로는 앞으로 확대될 조직을 감당할 수 없다”며 “광교에 들어설 도청 신청사에 재난안전본부가 함께 입주해야 도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기도가 구현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