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상회담 엇갈린 평가
여야는 2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첫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대조적인 평가를 내렸다.
새누리당 신의진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한·일 정상회담은 양국의 관계 개선을 위한 한 보 진전된 합의를 이뤄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한다”며 “발전되고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 구축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했다.
신 대변인은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하기로 했다는 점은 양국 우호관계에 걸림돌이었던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풀어내기 위한 의미있는 시도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향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 문제,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등 양국이 경제분야에서도 진정한 협력을 이어나갈 것을 확인했다는 것은 이번 회담의 경제적 성과”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북한의 도발에 함께 대응하기로 한 것은 한반도의 평화를 넘어 동북아 평화를 지키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내고 “한·일 정상회담은 과거사 문제에 대해 결국 별다른 성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매우 실망스럽다”면서 “양국 정상의 합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조기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협의를 가속화하겠다는 수준에 그쳤다”고 평가절하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이어 “이번 정상회담은 적어도 과거사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회담 전부터 예상됐던 대로 한 치의 진전도 이끌어내지 못한 실패한 회담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다”며 “위안부 문제는 박 대통령이 정상회담의 조건으로 국민 앞에서 약속했던 원칙이라는 점에서 이번 회담에서 무슨 실리를 얻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원칙은 확실히 잃었다”고 비판했다.
한편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새누리당 서청원 최고위원(화성갑)은 별도의 논평을 내고 “한일 정상회담에서 가능한 조기에 위안부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하기로 한 것을 주목한다”고 밝혔다.
서 최고위원은 이어 “한일의원연맹 회원들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올해 안에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일본측이 성의있는 조치를 취해 줄 것을 거듭 촉구한다”면서 “위안부문제·북한핵문제·FTA 등 각 분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양국간 우호관계가 더욱 심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재민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