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화원 충원 대신 용역… 부평구 ‘잡음’

공무원 총액인건비 절감 등 ‘경제논리’
연말 7명 퇴직… 사회적기업 위탁방침
市노조 “재정난 핑계… 공공성 망각”

제목 없음-1 사본.jpg
▲ 9일 오전 인천시 부평구청 정문 앞에서 환경미화원 신규채용에 대한 민간 용역 대체계획에 반발한 인천시청 노동조합 회원들이 규탄 집회를 갖고 있다. 장용준기자
인천시 부평구가 계약직 공무원으로 운영 중인 환경미화원을 용역으로 대체키로 해 물의를 빚고 있다.

 

9일 구에 따르면 올해 말 7명의 환경미화원이 퇴직, 빈자리를 신규 채용하는 대신 사회적 기업에 일임할 계획이다.

 

정년퇴임으로 인한 환경미화원 공석을 신규채용하지 않고 외부업체에 맡겨 공무원 총액 인건비를 절감하는 등 경제적인 이익을 볼 수 있다는 게 구청 측의 논리다. 

하지만 환경미화원은 도로 청소나 쓰레기 수거뿐만 아니라 구가 시행 중인 궂은일까지 도맡아 왔기 때문에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환경미화원들은 구청이 시행 중인 홀몸노인 돌보기 사업 등에 투입돼 집을 청소해주거나 환경개선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홀몸노인들의 말벗까지 해주는 등 다양한 분야에 동원되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기준 인천지역 지자체 환경미화원 지원자 평균 연령이 42세로 매우 젊어, 환경미화원 업무를 외부업체에 맡겼을 때 업무 처리 능력이나 속도 등 효율성 부문에서도 저하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인천시노동조합 조합원 150여 명은 이날 오전 9시 30분 부평구청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고 “재정난을 핑계로 청소업무를 민간위탁으로 전환하는 것은 공공성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홍미영 구청장은 독단적인 환경미화원 민간위탁 전환계약을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홍 구청장은 “민간위탁도, 민영화 시도도 아니며 단지 청소구역 중 일부 구간을 대행 용역하는 것일 뿐”이라며 “다만, 신규 충원 대신 청소구역 중 작은 구간이나마 구의 사회적 기업 등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공에서의 사회적 경제 지원’이라는 점에서 결정한 것이니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