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36명이 내다본 한국의 미래

통일·교육개혁·고령화사회 등 6개 분야 심도있게 다뤄

10년 후 한국사회

아시아 刊

오늘날 우리사회에는 저출산, 청년실업, 경제성장, 시민의식, 교육개혁, 남북통일 등 각종 문제들이 풀어야할 숙제로 남아있다.

 

앞으로 10년 뒤 한국사회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또 앞으로 10년 뒤를 위해 어디로 나아가야 할까.

 

<10년 후 한국사회>(아시아 刊)는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고 있다.

 

2013년 2월 포스텍(포항공과대학교) 부설로 출범한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인류와 국가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미래사회를 조망하고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연구한다’는 것을 미션으로, 해마다 새로운 당면과제를 내세워 심도깊은 연구를 진행해왔다.

 

올해 주제는 ‘10년 내 한국사회가 당면할 가장 중요한 이슈는 무엇이며,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였다.

 

연구소는 이 주제를 위해 설문을 통한 의식조사, 젊은 세대의 생각을 듣기 위한 에세이 공모, 전문가들의 의견 조사를 진행했다.

 

이 책에는 그 연구에 대한 결과물이 상세하게 담겨있다. 설문 조사 결과와 에세이 수상작은 물론 송복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방민호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 정태헌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등 36명의 각계 전문가가 내놓은 방안이 담겨 있다.

 

이들은 ‘평화 그리고 통일’ ‘시민 그리고 개인’ ‘교육개혁 그리고 다문화사회’ ‘고령화사회와 유전자 의료산업’ ‘의식 그리고 리더’ ‘새로운 외교 그리고 정치개혁’ 등 6개의 세부주제로 나눠 각 분야에 대해 깊이있고 합리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최광웅 소장은 책의 말머리에서 “‘향후 10년이 매우 중요하다’는 말에 모든 식자들이 공감하고 있다”며 “이제는 10년뒤 한국사회가 어떤 모습인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내놓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책은 10년 뒤 한국사회의 모습을 예측하고, 앞의 그 질문에 대해 설득력 강한 진단과 대답을 담고 있다”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