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진·산하단체 관계자 참석 설명회 추천인사 등 10명 내외 ‘추진위’ 구성
중앙단체 통합 지연땐 인준차질 헛수고 사무처장직 놓고 양측 신경전 불가피
인천시 체육회와 생활체육회의 통합이 추진(본보 10월 15일 자 3면) 중인 가운데 두 체육단체가 합쳐진 통합체육회 출범이 본격화됐다.
시는 11일 문학경기장 내 시체육회 대강당에서 노순명 시 체육회 상임 부회장과 이인철 시 생활체육회장, 각 산하 경기종목단체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두 체육단체의 통합과 관련한 경기종목별 단체 설명회를 개최했다.
시는 이날 통합을 위한 통합가이드라인을 제시·설명했다. 우선 이달 중 시체육회 추천인사 3명, 시 생활체육회 추천인사 3명 등 총 10명 내외로 통합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구체적인 통합 작업에 들어갈 방침이다.
통합추진위원회는 합의 및 심의·의결 기구로 통합체육회의 명칭과 사무국 직원 신상문제, 정관 제정, 사업인가 등의 법적 절차를 거쳐 통합체육회를 출범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앞서 시는 기권일 체육진흥과장을 팀장으로 시 체육회 및 시 생활체육회, 시 공무원 등 9명의 통합준비위원회를 꾸려 두 체육단체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두 체육단체의 통합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인천에서 종목별 통합이 이뤄진다고 해도 종목별 중앙 협회·연맹 등이 통합이 이뤄지지 않으면 사실상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인천에서 통합 후 중앙단체의 인준을 받아야 하는데, 인준을 받을 단체나 통합단체가 없는 셈이다.
특히 이날 설명회에서 현재 규정에 따라 중앙단체로부터 반드시 인준을 받아야 하는 만큼, 중앙단체의 통합 여부가 결정된 뒤 인천 종목별 단체의 통합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사무처 통합에 따른 수장 선임도 관건이다. 통합 회장은 현 인천시장을 추대하는 것으로 사실상 합의가 이뤄졌지만, 2명까지 둘 수 있는 사무처장에 대해선 뚜렷이 결정된 바가 없기 때문이다. 현재 시 체육회 사무처장이 공석이다 보니 향후 통합 사무처장으로 추진되면 체육회의 반발이 우려되고, 2명의 사무처장직이 유지되면 조직의 비대화 등이 우려된다.
기권일 통합준비위원장은 “이달 중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내년 1월 사무국 통합, 2월 통합체육회 출범 등이 계획되어 있다”면서 “양 단체의 종목별 회장 등과 원활하게 통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민우·최성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