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종현·임채호·양근서 의원 등 사업 실효성 질타
경기도형 임대주택 ‘따복마을’ 조성사업이 사업 부지의 접근성 저하 등으로 인해 실효성 논란을 빚고 있다.
11일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염종현ㆍ임채호ㆍ양근서 의원 등은 도 도시주택실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따복마을’ 사업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보이며 강한 질타를 쏟아냈다.
경기도형 임대주택인 따복마을은 대학생, 신혼부부,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고자 경기도와 시·군이 보유한 공유지에 지어 시세의 70% 수준으로 임대하는 사업이다.
이날 염종현 의원(새정치민주연합·부천1)은 “따복마을 사업에 신청한 공유지는 도유지 3개, 시·군유지 13개 등 모두 16개 필지인데 절반인 8개가 자연녹지(5개)와 계획관리지역(3개)”이라며 “접근성이 떨어져 수요가 있을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염 의원은 “나머지 절반도 준공업지역 등으로 청년층이 선호하는 도심권과는 거리가 멀어 사업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며 “게다가 따복마을은 민간투자방식인데 건설사들은 수익률이 떨어져 부정적인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임채호ㆍ양근서 의원도 “이 사업은 새로울 것 없는 수요자 맞춤형 임대주택사업에서 단순히 이름만 바꿨고 게다가 더욱 후퇴 된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계획대로라면 직장하고 가까운 도심에 위치해야 하는데 정작 도심이 아닌 외딴 곳으로 남 지사의 치적용으로 포장된 것 아니냐”고 질타했다.
이에 도 관계자는 “사업이 연장선상에 있는 것은 동의하지만 (남 지사 등) 논의과정에서 퇴색됐다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할 수 없다”면서 “연말까지 부지를 더 확보하려 하고 있고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인 만큼 좀 더 지켜봐 달라”고 밝혔다.
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