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단결한다면 180석 보장” 호언장담
내년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180석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조기에 띄우면서 의석수 확보를 둘러싼 여야의 눈치싸움이 초반부터 이뤄지고 있다.
최근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해 여당이 자신감을 표출하는 반면 야당은 당내 갈등과 잇따른 재보선의 실패로 수세에 몰린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여야 모두 수도권의 표심이 결국 캐스팅보트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모양새다.
22일 여야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평택갑)가 앞장서 180석이라는 목표를 내걸고 야당에 앞서 총선체제로 전환을 꾀하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달 당원을 대상으로 한 행사에서 “이대로 단결하면 다음 총선에서 180석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장한다”고 선언했고 원 원내대표도 원내회의에서 “국정 현안을 힘있게 풀어가기 위해 180석 이상을 해야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들이 주장한 ‘180석’은 현행 국회의원 정수 300명을 기준으로 하면 국회선진화법으로 불리는 개정 국회법에서 한쪽 정당이 안건 처리에 반대할 경우 신속처리대상 안건으로 지정해 조속히 처리하는 데 필요한 의결정족수이다. 내년 총선에서 전체 의석수의 5분의 3 이상을 차지하면 야당이 반대하더라도 여당의 숙원인 국회선진화 법을 개정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정권탈환의 교두보를 구축하기 위해 과반의석 확보가 전제조건이다. 문재인 대표는 최근 “총선에서 박근혜 정권의 독재와 민생 파탄을 견제할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역사에 죄를 짓는 것”이라며 과반 확보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하지만 새누리당과는 달리 공개적인 기준점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당 내홍와 천정배신당 출현 등 악재가 겹치면서 나타나고 있는 낮은 지지율로는 승리를 점치기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총선 결과를 73석으로 예상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일부 언론에 보도되기도 하는 등 부정적인 인식이 높게 일면서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소기의 성과가 될 수 있다는 판단이 나오고 있다.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