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의 신세계 창조 ‘메디컬 뷰티기업’ 만리장성 넘어 ‘30억 亞시장’ 노크
이 같은 여성의 욕구를 만족하게 하기 위해 서구의 의료기술을 조화시켜 아시아 고유의 미(美)와
새로운 아름다움의 실현을 꿈꾸는 기업 토브메오드(대표 김현우ㆍ37, 성남시 분당구)가 있다.
아시아 여성들에 미의 신세계를 만들기 위한 토브메오드는 끝없는 도전과 창조 정신을 갖고 고객 사랑ㆍ만족과 신뢰를 가장 많이 받는 메디컬 뷰티기업의 자리에 올라서도록 노력하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창업 초기부터 인구 13억의 중국 시장을 겨냥, 고부가가치의 바이오 미용기기 제작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이 기업은 이제 만리장성을 넘어 홍콩,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보폭을 넓히고 있다.
김현우 대표는 “세계 속에서 토브메오드는 ‘Asian Best Medical Cosmetic Creator’라는 이름으로
기억되길 바란다”며 “이를 위해 세계인의 시선이 머무는 아시아에서 30억 아시아인이 가진 아름다움에 대한 꿈을 실현하는 기업, 나아가 전 세계의 고객들에게 아시아의 문화가 품어온 미의 정수를 선보이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고객 맞춤형 미용의료기기, 중국 현지 만족도 ‘쑥쑥’
토브메오드의 주력 제품은 하이쎄라(HiThera). 이 제품은 주름 탄력개선용 미용장비로 피부표면의 손상없이 초음파가 진피와 피부 아래에 있는 근육층인 SMAS 근막층에 도달해 콜라겐을 유도하고 탄력을 개선한다. 여기에 토브메오드의 하이쎄라의 가장 큰 특징은 철저하게 중국형으로 제작됐다는 것이다.
중국 미용숍은 국내 업소와 달리 미용 기기를 업소마다 비치하고 있지 않다.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 형태로 운영하는 20~30개의 미용숍이라 할 지라도 미용장비 2~3대를 활용, 업소를 순회하며 고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김 대표는 이 같은 중국 미용업계의 특징을 감안, 미용기기 본체와 카트 분리형으로 제작했다. 편리한 이동성을 요구하는 중국 미용업주들의 속내를 읽은 것이다.
이를 증명하듯 경기도 주최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주관으로 지난 17일과 19일 각각 중국 충칭, 난닝에서 열린 ‘2015 G-FAIR(대한민국 우수상품전) 충칭&난닝’에 참가, 현지 바이어들과 상담해 충칭 시내 피부미용숍 30개를 보유하고 있는 프랜차이즈 업체 A사에게 제품 공급을 요청받았다. 김 대표는 앞으로 25만달러 수출 계약을 기대하고 있다.
■ 젊음의 도전 정신이 창조 경제로 이어져
김 대표는 대학시절부터 자신만의 아이템으로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창업을 꿈꿨다. 그러던 중 중국에서 식품가공 회사를 운영하는 삼촌을 따라 중국에 2년 동안 체류, 중국어를 배우고 몸으로 부대끼며 실무형 무역을 배운다.
이후 귀국한 김 대표는 2012년 모 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내 기업을 설립, 창업진흥원 해외(중국)진출 프로젝트 기업으로 선정되고 다음해에는 2세대 집속초음파 피부미용장비 TOV-프(TOV-HIFU)를 개발하는 등 본격적인 미용기기 제작기업으로 발돋음한다.
여기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 내 경기콘텐츠진흥원 지원기업으로 뽑히는 등 창조경제 기업인으로서 인정받고 있다. 토브메오드의 홈페이지(http://www.HiThera.co.kr)는 중국어와 영어로 제작됐다. 국내시장보다 중국시장과 화교를 통해 동남아시아까지 진출하기 위한 김 대표의 포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내년 핵심 기술자를 영입,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의료보조기구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의료 기기 전문 디자인을 통한 제품 외관 디자인 특허출원, 하이세라 상표특허출원, 그패픽특허출원 등 의료기기 판매까지 사업 영역을 넓히며 비즈니스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미용시장이 빠른 속도로 발전해 중국, 대만의 미용 기업만 9천여개으로 추정하는 등 레드오션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토브메오드의 올 홍콩, 중국 수출 목표는 100만달러이지만 51만달러에 그쳤다. 저가형의 중국 제품이 자국에서 판매되는 탓이다.
김 대표는 “상해, 북경은 대기업과 자본금을 앞세운 전문 기업들로 이미 포화상태며 중소기업인들이 들어갈 틈새가 없다”고 전제한 뒤 “첫술에 배부르지 않듯 수출계약에 어려움이 있지만 2~3선의 우한, 정주, 창사 등의 도시에 경기도 내 우수 중소기업이 판로 개척할 수 있수 있도록 경기도와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등 관계기관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학기자
한눈에 보는 中企지원 안내
경기벤처빌딩 고양센터 입주기업 모집
- 입주자격 : 사업개시 후 7년 이내의 중소ㆍ벤처기업
- 모집기업 : 4개사
- 신청기간 : 11월30일까지
- 신청방법 : 입주신청서 등 작성 후 방문 또는 우편 접수
- 위 치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무궁화로 20-38(3호선 정발산역 도보 10분)
- 문 의 : 경기벤처빌딩 고양센터(031-903-9771)
<경기도 개방형 창업플랫폼> G-베이스캠프 이용자 모집
- 모집대상 : 제조업ㆍ지식서비스 분야에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
- 모집규모 : 50명 내외(선착순)
- 신청기간 : 11월30일까지
- 신청방법 : 이지비즈(www.egbiz.or.kr)에서 이용신청서를 내려 받아 이메일 접수
- 문 의 : 경기중기센터 G-베이스캠프(031-888-8601~3)
2106년 중소기업 R&D 및 사업화 지원시책 설명회 참석자 모집
- 참석대상 : 경기도내 중소ㆍ중견기업 R&D 담당자 300명(선착순 마감)
- 참가비용 : 무료
- 일 시 : 12월21일 14:00
- 장 소 : 경기중기센터 본관 1층 광교홀
- 신청마감 : 12월16일까지
- 신청방법 : 이지비즈(www.egbiz.or.kr)에서 온라인 신청 또는 팩스(031-259-6244), 이메일(sos119@gsbc.or.kr)접수
- 문 의 : 경기중기센터 SOS지원팀(031-259-6118,9)
※ 자료제공 :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및 취소 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