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미술전시관 ‘근육의 생각’ 展
김월식 ‘아시아인의 몸’ 연구 프로젝트
히말라야 따망족 인터뷰 등 아카이브 전시
이에 작가는 100일 동안 1천 킬로미터를 걸으며 자신의 다리로 근육의 생각을 읽어내려 했다. 또 눈을 가리고 온전히 손의 촉각에 의지한 채 관찰하고 이를 찰흙 모형으로 재구성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그렇다면 정말 근육은 생각을 갖고 있을까.
작가의 답은 ‘그렇다’이다. 김월식 작가의 예술가적 상상과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 <근육의 생각>이 수원미술전시관에서 열리고 있다.
김 작가는 지난 3~11월 험난한 히말라야의 삶과 근대화 과정에서 몸살을 앓고 있는 네팔인들의 몸에 보존되고 있는 삶의 상상력, 문화적 상상력을 탐구했다. 이와 함께 동시대 대한민국의 지역민들의 근육 속 생각을 연구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수 천년 동안 히말라야와 같은 고산에 적응하도록 디자인된 따망족의 심장과 폐, 걷는 근육 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행한 ‘따망족’과의 인터뷰, 14세부터 철을 두드려 온 대장장이가 아귀의 힘으로 철을 두드려 철 그릇을 만드는 과정을 담은 영상, 수원 지동에서 40년이 넘도록 중국음식점을 운영한 사장님의 수타짜장 기술 퍼포먼스 영상 등을 선보인다. 프로젝트 진행 기간 동안의 기록 사진 및 회화 작품도 함께 전시한다.
아울러 상인들이 기증해 준 종이박스에 모두의 염원을 담아 만든 <지동신>과 <시장불> 조각품을 볼 수 있다. <지동신>은 수원 지동에 있는 만신, 무당, 무속 신앙을 조사하고 이들의 형상을 조합해서 만들어 낸 조각품이다. <시장불>은 시장에서 매일 소비되는 종이상자로 제작한 부처상으로, 불상 기본 구조는 보물 제431호인 창원 불곡사의 석조비로자나불 좌상(통일신라)의 형식을 빌린 작품이다. 전시는 오는 31일까지 열린다. 문의 (031)243-3647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