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道·도의회와 함께 ‘복지경기포럼’ 개최
경기도 특성 반영 균형발전 기준·지표 마련
경기복지재단이 경기도, 경기도의회와 함께 도내 31개 시ㆍ군간 복지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경기도형 복지 균형발전 지표 및 기준’ 마련에 나선다.
경기복지재단은 22일 오후 경기복지재단 교육장에서 경기도, 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등과 ‘경기도 복지 균형발전 기준, 어떻게 만들 것인가?’를 주제로 ‘복지경기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많은 복지사업들이 지방정부로 이양되고 있음에도 복지기준은 여전히 중앙정부가 획일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 경기도의 특성이 반영된 도 차원의 복지 균형발전 지표 및 기준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포럼은 김희연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실장과 허선 순천향대 교수의 주제발표에 이어 복지 관련 학계 및 현장 전문가, 공무원, 도의원 등이 참여하는 토론회가 진행된다.
토론회는 소득과 일자리ㆍ주거ㆍ돌봄과 사회서비스ㆍ건강과 인프라 등 4개 분과로 나뉘어 진행되며 토론자들은 각 분과 주제에 따라 31개 시ㆍ군간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균형발전 지표와 적정 기준 등을 논의한다.
토론은 각 분과별 퍼실리테이터가 진행하며 논의 결과는 경기도 복지 균형발전 기준선 연구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기우 도 사회통합부지사는 “경기도 복지 균형발전은 사회보장급여법에 명시된 책무로, 이웃나라인 동경에서 일찌감치 시민복지최저기준을 시정 중심목표로 설정한 것처럼 경기도 역시 내년 복지정책의 중심과제로 가져갈 생각이다”고 강조했다.
박춘배 경기복지재단 대표도 “연천과 용인시의 경우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비율이 5.7배나 차이가 난다”면서 “이번 포럼이 시ㆍ군간 심각한 복지격차를 재인식하고 경기도 차원의 복지 균형발전 기준선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포럼에 관한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기복지재단 정책연구실(031-267-9399)로 문의하면 된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