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조기 선대위 중재안도 주춤

비주류는 “文 사퇴만이 해답”

새정치민주연합의 대규모 탈당 사태를 막고자 조기 선대위 카드가 급부상한 가운데 문재인 대표가 선대위 수용 조건으로 혁신공천안 실천을 내걸면서 내홍사태 수습이 주춤거리고 있다.

 

문 대표는 조기 선대위 외에는 해법이 없다면서도 공천 혁신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비주류들은 문 대표의 사퇴만이 해답이라며 문 대표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문 대표는 24일 “지금 혁신적 조기 선대위라는 해법이 나와 있는 것 아닌가”라며 “다른 것은 없다”고 말했다.

 

전날 김성수 당 대변인을 통해 ‘추가 탈당 차단에 대한 담보’를 조기 선대위 체제 출범의 전제로 제시했던 문 대표는 “단합의 마음이 중요하다”고 재차 언급하며 “(선대위의) 혁신적 모습이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전날 당내 중진의원들과 수도권 의원들이 중재안이 공개된 이후 이에 대해 문 대표가 추가 탈당이 없고 공천작업이 혁신위의 ‘공천혁신안’대로 실천될 것이라는 담보를 요구하는 바람에 중재안은 제동이 걸린 상태다.

 

이런 가운데 탈당을 고심중인 김한길 전 공동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중재안 자체가 이미 때늦은 카드인데다 사태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압박하고 있다. 이들은 대표직 사퇴가 해법이어서 문 대표가 2선으로 후퇴하는 중재안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김 전 대표는 주변에 “총선에서 이기려면 바깥 사람들과 하나로 뭉쳐야 하는데 그 최소조건이 문 대표의 사퇴 아니냐”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총선 승리를 위해 안철수 의원을 포함해 외부 신당세력까지 통합해야 하는데 문 대표가 대표직을 유지하고 있으면 그와 같은 해법찾기가 사전에 차단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