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 선거구 무효, 불과 나흘 밖에 안 남았는데…여야 협상 또 결렬

p1.jpg
▲ 사진=여야 협상 또 결렬, 연합뉴스
여야 협상 또 결렬.

여야 지도부간의 4·13 총선 선거구 획정을 위한 협상이 또 결렬됐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원유철 원내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이종걸 원내대표는 지난 27일 정의화 국회의장 주재로 국회에서 2시간40여분 동안 회동했으나, 비례대표 선출방식을 포함한 쟁점들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가 오는 31일까지 선거구를 획정하지 못하면 헌재 결정에 따라 내년 1월1일부터 현행 선거구는 모두 무효가 되고 예비후보들도 자격이 박탈돼 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 초유의 사태를 맞게 된다.

여야 지도부는 이날 늦게까지 선거구 획정문제와 관련, 여덟번째 회동했는데도 전혀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이때문에 정가에선 연말까지 획정안에 합의하기 어려운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여야 지도부는 다음 회동날짜를 잡지 못한 채 헤어져, 현재로선 만날 가능성이 크지 않은 상황이어서 이같은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 국회의장은 이날 협상을 마지막으로 중재 중단을 선언했다.

연말까지도 합의안이 만들어지지 않으면 획정안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직권 상정하겠다는 방침인 것이다.

특히, 정 의장은 직권 상정에 대비, 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에 현행 지역구 246석, 비례대표 54석을 기준으로 한 획정안 검토를 주문할 방침이다.

정 의장은 “합의가 안 되면 현행(비율)으로 갈 수밖에 없다. 조금 더 검토해봐야 하는데 나 혼자 생각에는 1월1일 0시(가 기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새누리당 지도부는 지역구를 7석 늘리고 비례대표를 그만큼 줄이자는 기존 요구를 계속했고,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도 지역구를 줄이려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28일 오후 2시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선 법제사법위를 통과한 무쟁점 법안만 처리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