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의 상승률이 지난해보다 두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12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결과’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전년대비 5.06%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의 2.43%보다 2.63%p 높은 수치이며,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어닥친 2008년 이후 연간 상승률과 비교했을 때도 지난 2011년의 9.6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지역별로는 5개 지방 광역시가 6.43%로 가장 높았고 수도권(5.61%), 서울(5.56%), 기타지방(2.1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시ㆍ군ㆍ구 단위를 살펴보면 김포(9.19%), 군포(8.30%), 하남(7.97%) 등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세가격의 상승세도 이어졌다. 올해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6.11% 올라 지난해(4.36%)보다 1.75%p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전세가격 상승률은 지역별로 서울(9.57%), 수도권(8.33%), 5개 지방 광역시(4.61%), 기타지방(1.92%) 등의 순서로 집계됐다. 전세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전국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도 이달에 사상 처음으로 74%에 도달했다.
이는 전달보다 0.3%p 오른 것으로,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해 12월 70%를 찍은 뒤 최고점을 경신하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올해 주택시장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가격이 상승했고 특히 수도권 주택경기의 회복세와 지방 광역시의 상승률이 높았다”며 “특히 전세가율이 70∼80%대에 형성되면서 전세난에 지친 실수요자들이 매매로 돌아서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