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제재 협력”
‘北 핵실험 대응’ 美 전략자산 한반도 배치 추진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해 7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제재 결의가 신속히 채택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박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도 전화 통화를 통해 북핵실험에 대한 제재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정부는 북한의 이번 핵실험에 대응해 8일 정오부터 대북확성기방송을 재개키로 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바마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고 약 20분간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한 평가와 대응 방안 등에 대해 깊이 있는 협의를 가졌고 대북 제재에 의견을 모았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한미 양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실험은 결코 묵과될 수 없으며 대가를 치르게 할 것임을 누차례 경고해왔다면서 이번 핵실험에 대해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는데 대해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오바마 대통령은 가장 강력하고 포괄적인 제재 추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한국과 긴밀히 공조해 나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이와 함께 한미 정상은 지난 10월 정상회담에서 합의한대로 북핵 문제를 최고의 시급성과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다뤄 나가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안 등에 대한 협의를 진전시켜 나가기로 했다.
또 한미일 3국간 협력 및 중국 등과의 공조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통화에서 “북한의 핵실험이 역내 안정을 저해하고 여러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른 의무와 6자회담 틀속에서의 의무를 위반하는 것으로서 미국은 동맹국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의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은 신성한 것으로서 흔들림 없을 것이라는 점을 박 대통령에게 자신이 직접 강조하기 위해 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확고한 안보 공약을 재확인하고 북한의 핵실험과 관련해 단호한 대응의지를 표명해준데 대해 감사하다”며 “향후 유엔안보리 등에서의 긴밀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한미 양국 정부가 신속히 규탄 성명을 발표하고 외교·국방 당국 간 긴밀한 협력을 해온 것이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미 양국은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해 미국의 전략자산을 한반도에 배치하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이날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이순진 합참의장과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이 어제 전화 통화를 하고 오후에는 직접 만나 회의하면서 미군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한반도에 전개할 전략자산으로는 핵잠수함, B-52 장거리폭격기, F-22 스텔스 전투기 등이 거론된다.
미군의 전략자산은 광범위한 파괴력을 가진 첨단무기로, 한반도에 전개될 경우 북한은 극도로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한미 양국은 지난해 8월 북한의 지뢰·포격도발로 한반도 위기가 급격히 고조됐을 때도 미국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를 검토한 바 있다.
한편 청와대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8일 정오를 기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재개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강해인 정진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