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 “메르스 바이러스 한국에서 변이(變異)”…첫 공식 확인

p1.jpg
▲ 사진=메르스 바이러스 한국에서 변이, 연합뉴스
메르스 바이러스 한국에서 변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가 한국에서 변이(變異)를 일으킨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보통 단백질과 유전자 등으로 구성되고 이 가운데 바이러스 표면을 이루는 스파이크 당단백질(Spike Glycoprotein)은 인체 세포 속으로 들어가 결합, 바이러스를 증식시킨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메르스 진단을 받았던 환자 8명으로부터 채취한 객담 등의 검체를 이용, 메르스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당단백질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변이가 관찰됐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1번, 2번, 9번, 10번, 12번, 13번, 15번 환자 검체가 사용됐으며 이들이 감염된 메르스 바이러스를 중동에서 유행한 메르스 바이러스와 비교한 결과 전체 당단백질의 8개 부분에서 염기 변이가 있었고 이 가운데 4개에선 아미노산 변이가 관찰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연구에서 밝혀진 유전자 변이는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것으로, 지난해 국내에 메르스바이러스가 유행하는 동안 유전적 변이가 많았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다. 이런 변이가 결과적으로 메르스의 감염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결론을 내리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