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 인허가’ 역대 최대 전년比 50%↑ 76만5천328가구

경기지역 69.8%↑ 27만6천948가구

지난해 인허가 된 주택이 76만5천328가구로, 전년대비 50% 가량 늘어나며 관련 통계를 시작한 197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종전 최대치는 수도권 1기 신도시가 공급되던 1990년으로, 75만378가구였다.

 

24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5년 인허가 물량 발표에 따르면 수도권은 2014년과 비교해 69.0% 늘어난 40만8천773가구를 기록했다. 서울이 55.2% 증가하며 10만1천235가구, 경기가 69.8% 많아지며 27만6천948가구, 인천이 125.2% 늘어나며 3만590가구로 집계됐다.

 

지방은 35만6천555가구로 전년대비 30.4% 증가했다. 부산(3만3천535가구)이 94.9%, 충북(3만1천125가구)이 90%, 전북(2만2천552가구)이 64%씩 2014년보다 인허가가 많았다.

 

청약시장에 분 순풍은 작년 아파트 인허가 물량을 53만5천931가구로 2014년과 비교해 53.9% 끌어올렸다. 2012∼2014년 평균(51만4천84가구)보다 60.1% 늘었다.

 

아파트 외 주택은 23만397가구가 인허가를 받아 작년보다 37.5% 늘어났으며, 최근 3년 평균(18만가구)과 비교하면 28.1% 많았다. 규모별로는 60㎡ 이하가 24만8천228가구 인허가되면서 41.8%, ‘60㎡ 초과 85㎡ 이하’가 37만4천124가구로 46.9%, 85㎡ 초과가 14만2천976가구로 67.2% 늘었다.

 

주택을 공급한 주체별로는 공공이 7만6천428가구로 2014년보다 20.7% 더 인허가를 받았고 민간은 68만8천900가구로 60.2% 증가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 49만7천488가구가 공사에 들어가고 아파트 외 주택 21만9천271가구가 공사를 시작하면서 2014년보다 각각 44.6%와 34.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연물량이 해소됐고 택지도 부족해 올해는 작년보다 인허가 물량이 감소할 전망”이라면서도 “지난해 인허가된 물량이 올해 시장에 쏟아져 나올 경우 ‘공급과잉’에 따른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어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