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들 반발 난항 예고
인천시가 이르면 다음 달 안으로 자본잠식 상태인 특수목적법인(SPC) 인천로봇랜드(주)를 해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특히 로봇랜드 SPC 자본금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주주들의 증자논의가 지지부진하자 해산 쪽에 무게를 뒀다.
시는 빠르면 다음 달 안으로 로봇랜드 SPC 해산 건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26일 밝혔다.
현재 로봇랜드 SPC는 초기 자본금 160억 원 중 지난해 말 기준 8억 원도 채 남지 않은 상태라 올해 상반기 내 모두 소진될 전망이다. 이로 인해 주주들과 협의해 용역비 13억 원, 운영비 27억 원 등 40억 원 상당을 증자하려 했으나 기존 주주들과 의견이 맞지 않아 증자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욱이 신규 투자자를 모집하려 해도 기존 주주들의 반대로 쉽지가 않다. 현행 주주협약상 로봇랜드 사업시행이나 시공은 건설투자자에게 우선권이 있으며, 신규 투자자가 들어오면 권한을 나눠야 하니 의견 조율이 안되고 있다.
시는 증자도, 신규 투자 유치도 어려운 로봇랜드 SPC를 해산하고 인천도시공사가 단일 사업주체로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도시공사가 토지매각이나 사업성 확보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효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랜드 SPC 해산절차가 쉬워 보이지는 않는다. SPC를 해산하려면 이사회를 거쳐 주주총회를 열고 해산에 합의해야 한다.
주식 총수의 3분의 2 이상이 주주총회에 출석해야만 성원이 되는데 민간 투자자들이 해산에 동의하지 않으면 성원 자체가 불가능하다. 현재 로봇랜드 SPC는 인천정보산업진흥원이 49.99%, 인천도시공사가 3.12%, 건설투자자가 30.71%, 전략적 투자자가 16.17%를 갖고 있다. 민간 부문의 지분이 절반에 가깝다.
민간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로봇랜드 SPC를 해산하면 이미 자본잠식 상태라 투자금을 건질 수도 없고, 우선 시공권까지 잃게 되니 쉽게 수긍하기 어렵다.
이에 대해 김정헌 인천시의원(새·중구 2)은 “로봇랜드는 구심점도 없고 책임자도 없는 상태”라며 “SPC 체제로 사업 가능성이 없는 만큼 해체하고 개선방안을 찾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로봇랜드 자본금이 거의 소진됐기 때문에 조속히 최종 방침을 결정해야 한다”며 “주주들의 반대 의견이 예상되지만, 해산하는 쪽으로 주주들을 설득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