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칼럼] 손가락 통증과 ‘팔꿈치 터널 증후군’

이춘택병원 정형외과 유현열 과장 
4·5번째 저리면 의심해봐야

무제-5 복사.jpg

추워진 날씨에 손가락 말단부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4번째, 5번째 손가락에 국한되어 증상이 나타난다면 팔꿈치 터널 증후군(주 관증후군, Cubital tunnel syndrome)을 의심해봐야 한다. 별다른 원인 없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팔꿈치의 반복적인 굴곡 운동이나 직접적인 압박이나 목에서 새끼 손가락 쪽으로 내려오는 척골신경이 주 관(Cubital tunnel)에서 압박받아 손 저림이나 무감각 등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척골신경 포착증후군의 일종이다. 하루 종일 팔꿈치를 책상에 두고 컴퓨터로 일을 하는 직장인들에게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도 예외는 아니다.

 

팔꿈치 터널 증후군 증상은 심해지면 손가락 사이 근육의 마비, 손가락의 갈퀴지 변형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팔꿈치가 원인이지만 손가락 부위에 저린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 증후군)으로 오해하기 쉬우나 1, 2, 3번째 손가락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수근관 증후군의 증상으로 어느 손가락에 통증이 나타나느냐에 따라 질환이 구분되기도 한다.

 

초기라면 생활습관 개선과 충분한 휴식으로도 척골신경 압박 원인을 최소화해 호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우선 팔꿈치를 책상에 올리고 체중을 싣는 자세를 피하고, 장시간 동안 팔꿈치를 구부리고 하는 스마트폰, 독서, 작업도 피해야 한다. 잠을 잘 때 팔을 베고 자거나 엎드려 팔에 머리를 기대어 자는 습관도 고치는 것이 필요하다. 틈틈이 시간 날 때 팔꿈치와 손목과 손가락 스트레칭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약물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등의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할 수 있으며, 신경압박 정도가 심한 경우 수술적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적 방법에는 주 관을 절개하여 압박을 풀고 유착된 신경을 박리하는 단순감압술 및 신경박리술, 내상과를 제거하여 철골 신경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내상과 절제술, 척골신경을 팔꿈치 뒤쪽에서 앞쪽으로 이동시켜 신경의 경로를 짧게 하여 압박을 줄여주는 척골신경 전방전위술 등이 있으며, 환자 상태에 맞는 수술법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춘택병원 정형외과 유현열 과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