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민의 수돗물 불신·불안, 이래서 커진다

인천시의 수돗물 수질개선 의지가 의심스럽다. 시민들에게 최상의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선 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가 시급한데도 예산 타령만하고 그 절박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하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수돗물에 남아있는 소독 부산물 등 물맛에 영향을 주거나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각종 미량의 유해물질을 완전 제거해 더욱 안전하고 맛좋은 수돗물을 생산하는 최신 설비다.

현재 서울·경기·강원·부산·대구 등 17곳은 모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고 있거나 완공단계에 있다. 하지만 유독 인천시민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4개의 정수장엔 아직도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없다. 다만 부평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시설이 겨우 올 초 완공될 예정일뿐 나머지 공촌·수산·남동정수장은 예산관계로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밖에 없어 공사가 모두 완공되려면 10년가량 걸릴 전망이다.

그렇잖아도 그동안 각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없어 가뭄·장마 땐 수돗물 맛이 이상하고, 역한 냄새가 난다는 민원이 한 해 동안 2천여 건이나 몰린 적도 있다. 그래서 수돗물 직접 음용율이 전국 평균(5.4%)보다 훨씬 밑도는 1.8%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그런데도 인천시는 예산 부족을 핑계로 정수처리시설 개선 사업을 뒷전으로 미뤄놓고 있다.

인천상수도사업본부가 올해 고도정수처리시설비로 확보한 예산은 고작 지역발전특별회계(지특회계)에서 할애된 37억 원뿐이다. 정수장 1곳에 설치할 시설비 300~350억 원에 비하면 턱도 없는 액수다. 인천시는 자체 재원부족으로 국비를 확보해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정부가 다른 지역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서울·경기 등 지자체가 자체 재원을 투입, 사업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올해 시가 정부에서 확보한 지특회계 1천156억 원 중에서 37억 원을 배정했지만 쥐꼬리에 불과하다.

상수도사업본부는 당초 오는 2018년까지 1천688억 원(국비 1천169억 원·시비 519억 원)을 들여 모든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 입장이 바뀌지 않는 한 지특회계와 시 자체 재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됐다. 매년 300~400억원이 확보된다 해도 3개 정수장의 시설을 순차적으로 개선하게 되면, 각 정수장별로 3년씩 모두 9년이나 소요된다. 시민들에게 고도정수처리 안된 찜찜한 수돗물을 장기간 마시게 해선 안 된다. 시민건강과 직결된 수돗물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공급하는 일보다 더 중요한 건 없다. 인천시는 정수시설 개선 사업을 최우선 시책으로 추진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