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대도시 걸맞는 ‘세밀한 도시철도망’ 바람직

‘인천 도시철도망’ 공청회

▲ 3일 오후 인천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공청회가 인천시 남동구 인천종합문예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리고 있다. 장용준기자
300만 도시 인천은 더 짜임새 있는 도시철도망이 필요하다는 데 지역여론이 모아졌다.

특히 철도망 외 버스, 트램 등 여타 교통수단과 체계적인 환선시스템을 구축해 대중교통 통행 비중을 늘릴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3일 인천시는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인천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공청회’를 열었다. 공청회는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인천대학교 김응철 교수,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민재홍 책임연구원, 중앙대학교 손기민 교수, 인천의제21 이선영 간사, 인천발전연구원 김종형 교통물류연구실장, 본보 김미경 기자가 토론자로 참석했다.

 

김응철 교수는 “인천 도시철도망 계획이 완료된다고 하더라도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42.1%에서 46%로 개선될 뿐 서울의 65% 수준까지는 올라가지 못한다”며 “인천의 높은 인구증가율 등을 반영해 더 공격적인 철도망 구축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재홍 연구원은 “재정 등 현실적인 부분을 감안해 구간·단계별 건설계획을 세우고 BRT, 바이모달트램 등 신교통 시스템 도입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손기민 교수는 “인천의 신규 철도노선을 급행화·집결화하겠다는 계획은 매우 긍정적이다. 이 외에 직선화 방안을 추가한다면 비용과 시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수요나 재원 확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선영 간사는 “철도를 간선화, 버스를 지선화 하는 고정적인 개념보다 철도 우선지역과 버스 우선지역 등 정책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밝혔으며, 김종형 연구실장은 “철도망 건설은 천문학적 재원이 필요하지만 운영·관리에도 막대한 재원이 소요된다”며 “현행 관련법으로는 국가로부터 유지·관리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개선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본보 김미경 기자는 “우선 사업대상 7개 노선만 놓고 보더라도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준(B/C 1.0)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업이 여럿 있어 재원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만약 민자사업으로 추진하게 된다면 인천지역 시민은 비싼 요금을 내고 철도를 이용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안정적인 재원 조달 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홍순만 시 경제부시장은 “인천에 가장 맞는 철도 시스템을 찾고자 종합적인 그림을 먼저 그린 것”이라며 “철도망은 인천의 경쟁력을 높이고, 세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중요한 자산이다.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