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셰어링 현주소] 하. 활성화 숙제는?

내차처럼 생활 속 편리한 이용 한계… 대여소·차량 확충 시급

인천시 카셰어링 서비스를 활성화하려면 지금보다 공공서비스를 넓히고 다각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카셰어링을 이용하는 회원 수는 지난 2013년 6천189명에서 지난해 말 5만 1천608명으로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65.4%, 30대가 21.5%로 젊은 층이 대다수다. 요일별로는 평일보다는 주말이 이용 횟수가 많았고, 한 달에 두세 번 이용하는 회원이 전체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인천발전연구원이 벌인 설문조사 결과 ‘매우 만족’이 응답자의 25.7%, ‘만족’이 64.3%로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서비스 확대를 위해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무엇보다도 차량 대여소가 적다. 지난해 11월 기준 총 163곳의 대여소가 있지만 18곳은 운영을 중단하고 1곳은 보류 중이다. 게다가 대여지점 중 절반 이상은 남구와 남동구, 부평구에 집중돼 있다. 다른 구에서 이용하는 회원은 대여소까지 거리도 멀고 예약 가능 차량도 적다.

 

부천, 김포 등 인근 지자체까지 이동한 뒤 원하는 위치에 주차할 수 있는 편도 서비스 확대도 절실하다. 카셰어링을 이용하지 않는 시민들은 ‘왕복 운행이 불편하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젊은 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 이용자를 그러모을 수 있는 정책 개발도 필요하다. 하지만 시는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이나 저소득층 무료 대여 등 일부 행정 편의만 지원하고 있다.

 

자가용 소유를 줄여 주차난 해소와 온실가스를 감소하고, 저소득층의 교통 복지 혜택을 늘리려면 공익 카셰어링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도 16일 제9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열고 카셰어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규제를 대폭 손질하기로 했다. 

주요 내용은 △운전 면허정보 확인 시스템 개선 △카셰어링 전용 주차장 확대를 위한 법령 정비 △카셰어링 시범도시 지정 등이다. 특히 LH 임대주택 입주민에게만 제공했던 카셰어링 서비스를 행복주택과 뉴스테이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인천발전연구원은 최근 ‘인천시 카셰어링 도입 효과 평가와 운영 방향 설정 연구용역’에서 카셰어링-대중교통 연계와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 이용 등의 대안을 제시했다. 

도시철도역 등 환승 거점과 카셰어링 서비스를 연계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친환경 차량 확대를 강조했다. 인발연 석종수 연구위원은 “사업 주체가 민간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홍보는 어렵겠지만, 전체 사회적 편익을 위해 시가 좀 더 다양한 활성화 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덕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